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삼성·애플 빠진 ‘러시아’, 중국 스마트폰 업체의 기회와 위기 주목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이데일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3-17
  • 등록일 2022-03-30
  • 권호 211

□ (기회) 中 스마트폰 업체, 삼성전자·애플 판매 중단에 성장


º 러시아 최대 이동통신사 MTS는 금년 228일부터 313일까지 러시아 시장에서 화웨이·오포·비보 등 중국산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월 대비 2배 증가했다고 발표(3.17)


- 이 기간 화웨이는 판매량이 300% 늘었으며 오포와 비보도 각각 200% 성장한 것으로 집계


- 또한 ZTE100%, 리얼미는 80%, 샤오미는 12%의 증가세를 기록


- 애플이 러시아에서 제품 판매를 중단하고 보이콧을 선언했으며 삼성전자도 수출 물량의 선적이 중단되면서 러시아 소비자들이 중국 스마트폰을 대안으로 선택한 것이 주효


6-1.PNG


- 또한 러시아인은 삼성전자와 애플의 남은 재고를 구매할 수 있으나 현재 제품 판매 중단으로 인하여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가격이 급등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스마트폰 제품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러시아 전자상거래 판매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아이폰13 프로 맥스 256G의 가격은 199,999루블(234만 원)까지 급등 


º 한편, 러시아 최대 소비자 가전 유통회사 M비디오-엘도라도(M.Video-Eldorado)3중순 러시아에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가 정점을 찍은 뒤 중저가 모델로 수요가 이동하여 금년 중국 스마트폰의 러시아 시장 점유율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위기) 루블화 폭락과 규제 강화로 中 스마트폰 업체 사업 난항


º 화웨이와 샤오미, 오포 등 중국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는 러시아로 수출하는 스마트폰 기기의 출하량을 공습 이후 절반 수준으로 감축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루블화의 가치는 최소 35% 급락했으며 경제 제재 여파가 번질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루블화의 가치가 폭락하면서 러시아 고객들에게 35% 더 높은 가격을 청구해야 하지만 서방 국가의 경제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가격 인상을 하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


- 이에 러시아에서 판매량이 급증해도 중국 스마트폰 기업의 실적 개선을 낙관하기는 어려울 전망


- 또한, 러시아 침공을 규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서방국의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증가


- 미국 정부가 외국 기업이 만든 제품이라도 미국이 통제 대상으로 정한 소프트웨어나 설계를 사용했다면 러시아에 수출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한 제재 조항인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 Foreign Direct Product Rule)’ 영향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


- 만약,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에 2차 제재를 가할 경우 스마트폰 등에 들어간 미국산 부품, 기술의 러시아 수출까지 문제 삼을 가능성도 제기


2020년 미국 제재로 반도체 공급이 끊기면서 화웨이는 핵심 사업인 스마트폰과 통신장비 사업에 큰 타격받았으며 20211~9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급감


□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는 러시아 시장, 중국 기업 공세는 이어질 전망


º 현재 중국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겉으로는 중립을 표방하면서 사실상 러시아와 전략적 협력을 의식한 러시아적 중립노선을 고수하며 서방국의 일방적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는 분위기


- 화웨이는 1990년대 초반 이미 러시아에 네트워크 통신장비를 공급하며 장기간 협력. 러시아 최대 이동통신사 MTS5G 서비스 계약 체결, 러시아 현지에 R&D 센터 운영 중


- 샤오미도 2016년 러시아에 진출해 현지 스마트폰 시장에서 두각. IDC·카운터포인트리서치 등 자료에 따르면 샤오미는 2021 러시아 시장 점유율 2위이며 오포·비보 등 기타 중국 스마트폰 기업도 러시아에 진출


6-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