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스마트 모빌리티 사회 구축 연구 개발·사용화 계획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2-03-14
- 등록일 2022-04-15
- 권호 212
□ 경제산업성은 녹색혁신기금을 이용하여 실시할 예정인 「스마트모빌리티사회 구축」프로젝트 관련 연구개발·상용화계획 수립, 공표(‘22.3.)
º 일본은 '50년 탄소중립 목표로 '20년 3차 추경예산에 녹색혁신기금(2조엔)을 조성, 경영 과제로서 임하는 민관에게 10년간 연구개발·실증·상용화 지원을 계획
- 스마트 모빌리티 사회 구축을 위한 EV·FCV 운행 관리와 일체적인 에너지 관리체계 확립
- 최저 레벨3 이상의 운행시 다음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용성 검증
º 상용 전기자동차·연료전지차의 대규모 도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운수사업자의 운행관리와 일체적인 에너지 관리 등에 관한 연구개발
- 일정한 구역*에서 전기자동차 또는 연료전지차를 운용하여, 운행・차량・에너지 이용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
* 3~5개의 사업장, 중간 규모의 현, 간선도로 등 상용차의 이용형태에 따라 적절한 지역
- 동시에 해당 데이터와 외부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전기자동차 또는 연료전지차에 대해 운행 관리와 일체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
- 이 때 해당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에너지 이용 최적화 및 CO₂배출량 감축에 관한 정량 목표의 설정을 필수로 함
- 또한, 운수사업의 원활한 운영과 전기자동차·연료전지차의 도입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하여 기존에 보급되어 있지 않은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
- 기술적 과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그 기술을 확립하도록 하고, 개발에 관한 정량 목표에 대해서는 개별 기술내용에 따라 사업자 스스로 설정
º스마트 모빌리티 사회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 내용
① 상용 전기자동차·연료전지차의 본격 보급시 사회 전체 최적화를 목표로 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개발
- 상용 전기자동차·연료전지차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었을 때,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부하나 충전 인프라 설치 등의 최적화를 위해 ②의 사업자로부터 데이터 획득
- 획득한 데이터 및 기상, 도로·교통, 에너지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에너지 이용·GHG 배출량·운행루트의 최적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 그 실용성에 대해 검증
② 상용 전기자동차·연료전지차의 대규모 도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운수사업자의 운행관리와 일체적인 에너지 매니지먼트 등에 관한 연구개발
- 운수사업의 원활한 운행과 전기자동차·연료전지 자동차의 도입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기존에 보급되어 있지 않은 기술*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
* 예: 교환식 배터리나 무선급전 기술
- 또한 기술적 과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기술 확립을 위해 연구개발도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