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OECD, 자원 효율적이고 순환적인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디지털화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3-28
  • 등록일 2022-04-15
  • 권호 212

□ OECD에서는 자원 효율적이고 순환적인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디지털화에 관련된 보고서를 발표(’22.3)


* Digitalisation for the transition to a resource efficient and circular economy


º 디지털 전환(transformation)은 보다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과 향상된 사회적 웰빙의 이점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 인식


- 환경적 맥락에서 디지털화는 경제 활동과 천연 자원 사용 및 환경 영향을 분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 디지털 전환으로 촉진되는 데이터 수집, 정보 관리 및 지식 공유는 순환적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고 새로운 순환 경제 활동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 순환 경제 활동에 대한 비즈니스 사례를 개선함


7-1.PNG


º 순환적 비즈니스 모델은 순환적 공급, 자원 회수, 제품 수명 연장, 공유, 제품 서비스 시스템의 5가지 핵심 비즈니스 모델이 있음


1) 공유모델


- 개인화된 검색, 추천 시스템, 스마트 가격 설정 및 안전한 가치 교환을 통해 공급자를 소비자와 연결함으로써 촉진


- IoT, 클라우드 컴퓨팅, 머신 러닝, AI 및 블록체인 기술의 조합을 통해 생성된 공유 자산의 위치, 상태 및 가용성에 대한 데이터와 소비자 행동 및 선호도에 대한 지식에 의해 활성화


2) 제품수명연장 모델


- 제품, 부품 및 장비의 상태 및 수명 종료에 대한 데이터와 재료에 대한 정보 필요


- IoT, 빅 데이터 및 AI를 사용하면 사용 단계에서 서비스 중인 장비의 상태를 알 수 있지만 빅 데이터와 AI의 결합 기능을 통해 설계자는 설계 단계에서 더 나은 결정 가능


3) 순환적 공급 모델


- 가공, 수리 지침 및 재활용 조건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품 및 재료의 원산지 및 구성에 대한 데이터에 의해 크게 좌우


- 자재 출처를 추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판매, 수집 및 처리된 자재 유형 및 등급을 기록할 수 있으므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이해 관계자 간의 정보 격차가 완화


4) 자원 회수 모델


- 재활용 또는 산업 공생을 통해 폐기물 흐름에서 2차 원료 생산을 포착


- 수집 및 분류된 수량, 재료의 가용성 및 재사용 가능성, 구성 요소 및 재활용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


- IoT가 장착된 수거통, AI 기반 물류 시스템, 폐기물 수집 스테이션의 머신 러닝 기반 제품 식별 및 가치 평가 기능 및 재사용을 위한 자재의 디지털 소싱을 촉진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싱


5) 제품 서비스 시스템 비즈니스 모델


- 가치 사슬 전체에 걸쳐 물리적 제품과 서비스 구성 요소를 결합함


- 특정 제품, 서비스 또는 장비와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대규모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상태 및 가용성에 대한 데이터, 사용 및 유지 관리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 소비자 선호도에 대한 지식 및 행동이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