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사모펀드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4-21
  • 등록일 2022-05-13
  • 권호 214

□ 세계경제포럼(WEF)은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함께 사모펀드 기업(Private Equity Firms)을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22.4)


* Creating Value through Sustainability in Private Markets


º 많은 사모 투자가가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회색 자산(grey assets)을 잠재적인 리스크로 인식하고 있으며, 회색 자산의 친환경적 전환을 통해 많은 혜택을 얻을 수 있음을 인식하지만 이를 시행하는 데에는 다양한 장애 요인 작용


- 합자회사*와 합명회사**는 문화적인 장벽, 관성, 전문성으로의 접근성, 측정 문제 등 다양한 장애 요인으로 인해 불량 자산의 전환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


* Limited Partnership, LP


** General Partnership, GP


8-1.PNG


º 사모펀드 기업은 장애 요인을 극복하고 지속가능성을 통해 창출되는 가치를 포착하기 위해 의도적이고 조직적인 변화를 추구하여야 하며, 본 보고서는 이러한 조직 개혁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조직 전반의 문화적인 변화 주도


- 일반적으로 합자회사(LP)와 합명회사(GP)는 기업 설명 활동(Investor Relations, IRs)을 통해 보고하는 것을 통해 지속가능성 활동을 시작


- (1) 성공적인 지속가능성 혁신을 축하하기 위한 내부적인 소통, (2) 분기보고서 내에서 지속가능성 성과에 대한 보고, (3) 지속가능성과 투자팀 간의 공존, (4) 폭넓은 회계 책임의 형성, (5) 개별 인센티브 구조로의 지속가능성 목표 통합 등 적극적인 기회를 찾고 개발하여야 함


운영 전문성을 지닌 담당 직위 신설


- 기업 내부에 임원급 지속가능성 관련 직위를 신설해 전문성과 경험이 많은 담당자가 피상적인 체크 박스 형태의 분석을 넘어 특정 산업과 기업에 중요한 요소를 파악하도록 만듦


지속가능성을 전체 투자 생애주기에 통합


- 분명하고 의도적인 절차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시작에서 사전 검토, 소유와 가치 창출, 매각에 이르는 전체 투자 생애주기에 통합할 것


8-2.PNG

측정 시스템 강화


- 주요 척도를 선택하고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며, 파악된 지속가능성 척도에 대해 발전 방안을 논의하며, 측정 표준화를 위한 기존 플랫폼에 참여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측정 역량을 강화함


실험 수행


- 잠재적인 혜택을 충분히 실현하기 위해 가치 창출 기회를 시험하고 수정할 수 있는 소규모의 실험을 추진하고, 성공적인 성과를 얻은 시범 사업을 빠르게 확대


º 사모펀드 기업이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3가지 제도적 지원이 요구


- (향후 배출 저감 프레임워크) 일정 수준으로 설정된 감축 목표를 보완해 현재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자산을 취득하고 이를 변화시킬 인센티브를 제공함


- (탄소 가격제) 투자자가 자산의 보유 기간에 추진한 탈탄소화 프로그램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만듦


- (명확한 퇴출 및 탈탄소화 정책) 현재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자산에 대한 명확한 정책은 강력한 탈탄소 전환 정책을 추진할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자산 소유자가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매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