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새로운 인터넷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선언문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U.S. Department of State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4-28
  • 등록일 2022-05-13
  • 권호 214

□ 세계를 하나로 엮는 인터넷, 또 한편으로는 정보 검열·감시 등 국경의 장벽


º 부 권위주의 국가들은 국민과 기업을 통제하기 위해 대대적인 감시·검열 기술을 인터넷에 적용하고 있으며 국가 간 분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차단하는 사례도 발생


- 북한은 인터넷 검열을 통해 사회를 통제하고 있으며 중국도 인터넷 등에서 자국 및 홍콩 정부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는 운동가 체포 등 인권탄압이 이루어지는 상황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산 가스·석유 수입 축소, ‘러시아 보이콧을 전방위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인터넷·미디어 분야까지 확대


- 메타는 자사 플랫폼에서 러시아 국영 언론 매체의 계정 광고나 영리 행위 금지, 구글 뉴스는 러시아 국영 언론 매체 뉴스 제외, 모바일 어플 차단, 러 언론채널 광고 탑재 중단 등


- EU 집행위도 러시아 국영 매체 러시아투데이’, ‘스푸트니크 통신의 유럽 지역 서비스를 금지했으며 러시아 정부의 허위정보와 정보 조작에 대한 제재를 가하겠다고 언급


- 전쟁 발발 후 약 1주일 만에 서구의 SNS 콘텐츠, 뉴스 서비스 등을 이용하던 러시아인 계정 수백 만 개가 사라졌으며 미국·유럽 등 서방 국가에서도 일상적으로 검색할 수 있었던 러시아 뉴스 서비스 단절 등 사실상 인터넷 한 가운데에 보이지 않는 장벽이 세워진 셈


□ 미국, 공동 번영과 민주주의 정착 위한 새로운 인터넷 질서 주도…중·러 겨냥 


º 국을 중심으로 60여개 국가가 중국·러시아의 온라인 자유 탄압과 차별 등을 규탄하며 대응하기 위해 인터넷의 미래를 위한 선언(Declaration for future of the Internet)발표(4.28)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주재 하에 백악관에서 파트너 국가들과 인터넷의 미래를 위한 선언'에 대한 장관급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발표


- 백악관은 인터넷이 전 세계 사람들을 연결시켜 자신들을 표현할 수 있는 전례없는 기회를 제공하고 수십 억 명 사람에게 경제적 기회를 가능하게 하면서 세계 경제를 계속해서 변화시키는 등 획기적인 혁신을 창출했지만 심각한 정책적 도전 과제도 초래했다고 지적


- 일부 국가가 표현의 자유 억압, 독립적인 뉴스 사이트 검열, 선거 방해, 허위정보 유포·조장, 시민의 인권 탄압 등 디지털 권위주의(디지털 독재) 증가를 목도한다는 것


- 동시에 수백 만 명 사람들이 여전히 접근 장벽에 직면해 있고 사이버보안 위험과 위협은 네트워크의 신용과 신뢰도를 약화시킨다고 우려


- 이 같은 도전에 대응해 모든 사람들의 인권과 기본적 자유 보호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증진시키는 글로벌 인터넷 촉진 모든 사람이 디지털 경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포괄적이고 적당한 연결성 증진 프라이버시 보호를 포함한 글로벌 디지털 생태계에 대한 신뢰 촉진 모두의 이익을 위해 인터넷 운영을 유지하는 거버넌스에 대한 다중 이해당사자 접근법 보호·강화 등 원칙을 포함한 선언문 발표


- 선언문을 기반으로 협력 파트너국 간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 발전의 비전을 공동 추진하는 것이 목표


- 미국을 중심으로 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 등 G7(주요 7개국)을 비롯해 벨기에·네덜란드·룩셈부르크·포르투갈·덴마크·노르웨이·아이슬란드·그리스 등 대다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 참여했으며 호주와 대만도 포함


차기 정부 출범을 앞둔 우리나라는 인터넷 산업이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 등을 검토 후 참여 여부를 결정할 예정


5-1.PNG


º 미국이 주도해 인터넷과 관련한 선언을 내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민주 대 반()민주의 선명한 구도로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는 연장선상이라는 평가


º 한편 연합체 구성이 아니라 선언이라는 점, 인도·브라질 등 일부 주요 국가의 지지를 받지 못한 점은 한계로 지적


º 이든 행정부는 이 선언과 함께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내 디지털 협정을 묶어 화웨이 등 중국 기업에 대한 전방위적 규제 강화에도 나선다는 구상


□ 대만, 안전한 인터넷 환경 중요성 등 동참 배경 설명


º 인터넷의 미래를 위한 선언영상회의에 참석한 정무위원(디지털 담당 장관) 탕펑(唐鳳, Audrey Tang)글로벌 전염병은 디지털의 중요성을 부각시켰고 언론자유를 지켜야함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민주주의 소중한 가치를 

심화시켰다고 발언


º 울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은 디지털 회복력이 불가결함을 상기시켰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개방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안전한 인터넷이 필요하다고 강조


º 주주의 표현과 인류 권익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고 경제와 사회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며 지키는 것은 대만 정부의 비전과 일치한다고 언급


□ 반면 중국은 이데올로기에 선긋기 행보라고 비난


º 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이데올로기로 선을 긋고 분열과 대항을 선동하며 국제규칙을 파괴할 뿐 아니라 자신의 기준을 남에게 강요하려는 것이라고 반발


º 터넷 공간은 인류의 협력 공간이고 인터넷 공간의 미래는 세계 각국이 공동으로 관리해야 한다며 각국 이익을 존중하는 인터넷 국제관리 규칙을 제정해 평화, 안전, 개방, 협력의 질서정연한 디지털 공간

을 구축할 것을 어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