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독일, 6차 항공연구프로그램 3차 사업을 통한 프로젝트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연방경제에너지부(BMWK)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4-27
- 등록일 2022-06-03
- 권호 215
□ 연방경제기후보호부(BMWK)는 6차 항공연구프로그램 3차 사업인 LuFo V1-3의 개요를 통해 항공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각종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프로젝트 지원을 공개*(’22.4)
ㅇ 항공연구프로그램(LuFo)은 1995년부터 독일의 민간 부문 주도의 항공 산업 역량 강화를 장기적 관점에서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현재 6차 프로그램까지 진행
- 기술의 복잡성과 장기적 투자를 요구하는 항공 산업의 특성을 반영
- 민간시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술을 발굴하여, 독일 항공산업의 국가 경제 가치 창출과 유럽 내 파트너 기관 및 기업과 미래지향적 항공운송시스템 개발에 기여하고 있음
ㅇ 중장기 펀딩 중심의 예산 배정 기조를 꾸준히 유지하여 산업계와 연구개발 커뮤니티 역량 향상에 공헌했다는 평가
- 산업계 주도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자금 배치는 대학교 및 연구소의 활동 뿐 아니라 대형 실험 설비, 시험용 비행기 운용과 같은 국가 단위 연구 인프라의 한 축을 차지
- 독일 기업이 유럽 내 파트너와 함께 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환경에서 동등한 경쟁이 가능하도록 역량 배양
ㅇ 6차 항공연구프로그램 3차 사업(LuFo VI-3)의 목표는 항공으로 인한 기후 영향의 획기적 감소임
- 파리 기후 협정 및 EU 그린딜에서 제시한 요구사항 충족을 위해 무배출 및 기후 중립형 항공 기술을 보급하고 원자재와 소재 소비를 줄이는 것에 초점
- 미래 항공 운송량 증가와 무인기의 도입·통합과 더불어 고효율, 무배출 운송·생산 시스템을 통해 해결하고자 함
ㅇ LuFo VI-3 사업은 크게 3가지 부문에 집중
1) 대안형·기후 중립형 비행체 추진 시스템
2) 경량화, 고효율 유체역학 구현을 통한 효율성 향상으로 1차 에너지 요구량 및 자원 소모 감소
3) 원자재 순환성 강화를 통한 항공기 생산 소요 시간 및 비용 절감
ㅇ 중기 목표(~2035년)로 다음과 같은 정량 지표 제시
- 항공기 중량 40%, 에너지 소비량 50%, 제조 비용 및 시간 50% 감소
- 높은 수준의 안전 유지를 조건으로 소음 50% 감소
ㅇ 4대 핵심 지원 영역은 다음과 같음
1) 기후 중립형 항공기
- 항공기용 배터리, 하이브리드·전기 항공기, 수소 및 연료전지 기반 항공기 개발 및 시연
2) 항공 부문 가치 사슬 디지털화
- 인더스트리 4.0, 인공지능 구현
3) 미래 모빌리티
- 전동형 수직 이착륙기, 도심용 항공기(UAM), 무인 항공기 UAV, UAS 등의 혁신 기술 도입 및 실증 투입
4) 경쟁력 있는 항공 분야 중소기업 육성과 이를 위한 공급망 다각화
ㅇ 프로젝트 선정 지원 근거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
1) 프로그램 성격의 합치 정도
- 파괴적 혁신기술, 중소기업 혁신, 기초 기술, 디지털화 및 인공지능, 수소·하이브리드·전기 비행, 시연
2) 주제 연관성
- 승객 친화형·친환경 객실, 고성능·고에너지효율·안전형 시스템, 정숙하고 효율적인 구동·추진 장치, 구조 설계, 항공 물리,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제 및 통제 시스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