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22년 우주 정거장 건조 수행 및 향후 우주 계획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신화망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5-10
- 등록일 2022-06-17
- 권호 216
□ 중국의 텐저우(天舟) 4호 화물우주선*이 하이난성 원창우주발사장에서 창정 7호 야오(遙) 로켓으로 발사에 성공하여 우주정거장의 전면적 건조 단계 진입(’22.5)
* 텐저우 4호 화물우주선은 수시간 비행 후 우주정거장 핵심모듈과의 후방 도킹을 수행
ㅇ 텐저우 4호 화물우주선의 5대 주안점
① (중요한 사명 담당) 우주정거장의 지상 후방 보급 우주선으로서의 텐저우 화물우주선은 기종 목록화 방안을 적용
- 서로 다른 화물운송 수요를 충족시켜주는 밀폐형, 반밀폐·반오픈형, 오픈형의 3가지 화물선 모듈을 설계해 통용 추진실 모듈과 조합해 밀폐형 화물우주선, 반밀폐·반오픈형 화물우주선 및 오픈형 화물우주선의 3가지 기종 목록 형성
※ 텐저우 4호 화물우주선은 밀폐형으로 현역 화물 운송능력이 최대이고, 궤도 지원 능력이 가장 전면적
② (휴대 물품) 텐저우 4호는 우주인 시스템, 우주정거장 시스템, 우주응용분야, 화물우주선 시스템 등 총 200건(세트)의 화물을 탑재
- 우주정거장으로 화물을 안전하게 배송하기 위해 짐짝·거치대·저장탱크 등 다양한 화물적재 방식 채택하였으며, 화물의 종류·수량은 우주정거장의 수요에 따라 동적 배치 가능
한편 우주정거장 자세 궤도 제어, 계통연계형 전력 공급 및 우주정거장 원격측정, 데이터 전송 지원, 우주과학실험 등의 임무를 담당할 지원 능력 확보
③ (우주 도킹) 화물우주선은 우주정거장과 정확성/안정성/신뢰성 도킹을 실현
- 중국의 우주정거장의 각 모듈을 연결하는 도킹기구는 설계 초기부터 다양한 적재량 및 도킹 방식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
- 두 개의 중량급 우주선을 원활하게 도킹하도록 대량의 연구개발과 방안 등을 논의하여 감쇠 제어가 가능한 제어 구상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완충 등의 조치를 통해 포착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충돌 에너지를 상쇄할 핵심기술 돌파
④ (창정 7호 로켓 변화)
- 창정 7호 로켓은 텐저우 화물우주선과 손잡고 4번 째로 우주 비행 하였으며, 비행, 로켓 전반 기술상태를 안정적으로 구현
- 항천과기그룹 제1연구워의 리더가 개발한 창정 7호 야오5 로켓은 발사 전 프로세스에 대해 최적화하여 테스트 및 발사주기를 4일 단축
- 발사주기의 단축은 중대한 프로세스의 개선 임무로 종합 성능에 대한 도전일 뿐만 아니라 발사팀원의 고강도 작업환경에서의 적응력도 검증
⑤ (우주정거장 궤도 건조 수행시간) 2022년 우주정거장의 3개 모듈이 ″T″자 기본구조를 형성하면 중국 우주정거장의 궤도 건조가 수행
- 이를 위해 선저우 4호 화물우주선 발사 후, 7월 선저우 14호 유인우주선을 발사하고, 7월 우주정거장 원톈(问天) 실험모듈 발사하며, 10월에는 우주정거장 멍톈(梦天)실험모듈을 발사
- 이후 텐저우 5호 화물우주선과 선저우 15호 유인우주선 발사임무 수행
※ 선저우 14호와 선저우 15호의 2개 승무조는 모두 3명의 우주인으로 구성, 모두 궤도에서 6개월간 비행하며, 궤도 승무조 교대를 실시하고 지속적으로 사람 체류 가능
ㅇ 향후 우주 계획
- 2022년 우주정거장 궤도 건조 수행 이후 공정은 10년 이상의 응용 및 발전단계에 돌입하였고, 매년 2개의 유인우주선과 2개의 화물우주선 발사 계획
- 향후 중국 우주정거장은 우주생명과학, 우주재료과학, 우주의학 등 다양한 실험과 실기술 검증을 진행하여 과학탐사와 응용연구에서 중요한 성과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