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2022년 제조백서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문부과학성(MEXT)후생노동성(MHLW)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5-31
- 등록일 2022-07-01
- 권호 217
□ 경제산업성(METI)은 세계적 반도체 부족의 영향 등을 근거로 공급망 강화의 필요성 등의 내용을 담은 ʹ22년 제조백서 공표(’22.5)
ㅇ 코로나-19 이후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제조업 부분에서의 수익 악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ʹ21년 후반부터는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현황 악화
- 향후 공급망 강화를 위해 일본 내 기업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고, 이 밖에 제조업 관련 인재의 고용 및 취업 동향, 설비투자, 교육 및 연구개발 등이 제시
ㅇ 코로나-19뿐만 아니라 반도체 부족, 부품·소재 부족,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 DX 가속화 등 제조업을 둘러싼 사회정세 변화는 사업에 영향을 줌
- 특히 반도체의 부족은 일본 제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지배적이라 판단하고 있고, 업종별로도 수준 차이를 보여줌
ㅇ 반도체 시장은 디지털 혁명의 진전에 따라 앞으로 큰 성장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며, ʹ30년에는 세계 시장규모가 약 100조 엔으로 추정
- 이에, 일본 경제산업성은 ʹ21.3월에 개최한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 검토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기반으로 반도체 분야 및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 등을 제시한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 발표
- ʹ21.11월에는 상기 전략의 추진현황 및 향후 방향성 등을 점검하고, 반도체 산업 부활의 3단계 전략적 대응과 지속적 발전을 실현할 수 있는 사업환경의 정비로 이루어진 「반도체 산업기반 긴급강화 패키지」 발표
ㅇ 또한 백서에서는 초스마트화사회(Society 5.0)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제조 관련 기반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최첨단 대형 연구시설의 정비·활용❶과 미래사회 실현을 위한 첨단 연구의 근본적 강화❷를 위한 방안 제시
❶ 대형 방사광 시설(SPring-8)·X선 자유전자 레이저 시설(SACLA) 정비·공용, 대강도 양성자가속기 시설(J-PARC) 정비 및 공용, 민관 지역 파트너십을 통한 차세대 방사광시설 추진, 슈퍼컴퓨터 후가쿠 정비·공용
❷ 차세대 인공지능 연구개발, 소재 혁신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추진, 양자기술 혁신의 전략적 추진, 환경·에너지 분야 연구개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