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첨단 반도체 생산 거점 구상…2나노 공정 우위 확보 목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경제신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6-15
  • 등록일 2022-07-01
  • 권호 217

□ 일본 정부, 미국과 경제안보에서 반도체 산업까지 아우르는 파트너십 강화


 국가 경제안보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그 중심에 있는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본 정부는 차세대 반도체 생산과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행보 박차


6-1.PNG

- 지난 5월 초 미국을 방문한 경제산업성 장관(하이우다 고이치)은 미 상무장관과 첨단 반도체 상용화 등 반도체 분야 협력에 합의

- 일 정상회담(5.23)에서 양국 정상은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위한 실무협의회 설치와 중국을 염두한 경제안보 연계 강화, 기후대책 등을 포함한 공동문서 발표

공동문서 합의 주요 내용은 경쟁력 강화기후변화 대책을 비롯해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위한 실무협의회 설치, 중국을 염두한 경제안보 연계 강화 방침 등이 포함

- 이어 일본 내각은 양국의 민관이 협력해 2020년대 반도체 설계·제조 기반을 구축한다고 명시한 새로운 자본주의를 각의 결정(6.7)

- 오는 7월 양국 차관급 경제외교 회의(2+2)*를 개최하여 반도체 등 중요 물자 공급망 강화, 기후변화 대책, 경제안보 분야의 실질적인 협력 등을 중점 논의 계획

*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 등 중요 물자의 공급망 강화, AI·양자암호 등 첨단기술 유출 방지, 5G 기술개발 제휴 등 경제안보 관점에서 2+2를 새롭게 시작하는데 합의(1.21)


□ 궁극적으로 ‘2나노 차세대 반도체생산 거점 구축 구상


 양국의 협력을 기반으로 일본 정부는 올 3분기 경 민간기업 중심 공동연구를 시작해 20252027년 목표로 첨단 반도체 생산과 연구개발·양산 거점을 구축한다는 계획

구마모토현에 TMSC 생산 공장을 착공하고 제품을 양산 예정이지만 자동차 등에 효율적22나노, 28나노 공정 제품 중심

- 양국은 2나노 미세화 공정 수준의 첨단 반도체 개발에 집중하며 양자컴퓨터, 데이터센터, 스마트폰 등에 탑재하는 핵심 부품을 직접 생산한다는 구상

- 전투기, 미사일 등 군사 무기 분야에서도 성능을 좌우하는 첨단 반도체가 자국의 안전보장 체계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판단


6-2.PNG

 조만간 양국의 공동 연구개발에 참여할 민간기업 선정 작업에 착수 예정

- 일본 경제산업성은 연구개발과 설비투자 일부를 보조금으로 지원하며 삼성전자 TSMC2나노 제품 양산(2025년 목표) 일정을 빠르게 추격하겠다는 전략

- 현재 일본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도쿄일렉트론캐논 등 장비 회사가 2나노를 포함한 첨단 라인용 제조기술을 개발 중이며 미국은 인텔IBM2나노 연구개을 진행 중인 상황을 감안할 때, 이들 기업이 양국 공동 연구개발에 참여할 것으로 관측

양국 기업이 새로운 회사를 공동 설립할 가능성도 대두


□ (참고) 글로벌 선도 기업의 초미세공정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


 TSMC2022년 하반기 3나노 공정 도입, 20252나노 공정 도입을 확언하고 새로운 설계기술 핀플렉스(FinFlex)*공개(‘2022 북미 기술 심포지움’, 6.16)

* 그 동안 1개 칩 또는 시스템온칩(SoC)에서는 1개 핀펫만 가능했는데 핀플렉스는 핀펫 기술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해 전력 소모량과 다이(Die)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술

- 7월 초부터 3나노 기술을 적용한 인텔애플 등 주요 고객사의 반도체를 양산할 계획이었으나 수율 확보에 차질을 겪으며 지연되는 상황

- 네덜란드 ASML이 독점 생산하는 차세대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하이 뉴메리컬어퍼처(NA) EUV’2024년 도입 예정

* EUV 노광장비는 7나노 이하 초미세 반도체 공정 구현에 필수 장비

- 최첨단 시스템반도체 외에 이미지센서 차량용 반도체 전력용반도체(PMIC) 라이다 및 통신칩 등으로 영향력을 확장해 나갈 계획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GAA* 기술을 도입한 3나노 양산을 목표로 했으나 공정 수율 달성 등에 어려움을 겪으며 연말 또는 2023년 초(13)까지 연기될 전망이며 2나노는 2025년 생산 계획

* GAA(Gate-All-Around)는 핀펫보다 전류 접촉면을 1개 더한 총 4개로 확대한 차세대 공정기술. 핀펫은 반도체를 입체(3D)로 설계해 지느러미(Fin, )처럼 생긴 돌출부를 활용해 전류가 드나드는 문(게이트)과 전류가 흐르는 길(채널)3개로 만든 기술

- GAA 공정의 기술적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수율(합격품 비율) 확보 및 안정화가 당면 이슈

- ASML 본사를 방문한 삼성 경영진도 차세대 EUV 장비의 협력 강화를 논의하는 등 TSMCEUV 장비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겠다는 행보 박차

- 또한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판으로 알려진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 시설 구축에 약 3,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반도체 고성능화와 시장 성장에 따른 패키지판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


 TSMC는 안정적인 핀펫 공정으로 하반기 3나노에 진입한다는 전략이고 삼성전자GAA와 같은 차세대 공정을 먼저 도입해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

양사는 모두 4나노 공정을 상용화했지만 수율 차질을 겪으며 생산 일정을 연기하는 등 초미세공정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데 당분간 어려움이 이어질 전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