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화웨이, 미국 영향력 약한 국가의 현지 이통사와 파트너십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아주경제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2-06-29
  • 등록일 2022-07-15
  • 권호 218

□ 아프리카·중남미·동남아 국가에서 5G 사업 잇달아 수주하며 시장 입지 확대


ㅇ 화웨이는 미국의 압박 행보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중남미·동남아 등 개발도상국에서 5G 전환 계약을 지속 성사시키며 글로벌 시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전개

- 동안 미국 정부는 화웨이 장비가 주축이 된 네트워크가 중국에 악용될 수 있는 우려를 표하 우방국에 화웨이 보이콧을 촉구하는 등 화웨이 압박 지속

- 이에 각국의 견제와 진입장벽이 높아짐에 따라 5G 전환을 추진하는 북미·동아시아·서유럽 등에서의 화웨이 입지가 지속적으로 감소

- 하지만, 최근 미국의 영향력이 약한 아프리카·중남미·동남아 개발도상국에서 5G 전환이 시작됨과 동시에 5G 전환 사업을 잇달아 수주하며 시장 점유율을 상당 부분 회복할 것으로 예상

중남미 최대 통신사 아메리카모빌은 멕시코에서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5G 서비스 제공 시작(2.22) 베트남 정부는 2022년 통신업 핵심 과제로 5G 이동통신 정식 상용화 추진 발표(2021.12) 나이지리아는 금년 8월부터 5G 서비스 제공 계획 발표(5.5)


ㅇ 아프리카 케냐 통신 당국과 5G 상용화를 위한 기술 협약(MOU) 체결(6.29)

- 이는 화웨이가 금년 3월 케냐 이동통신사와 5G 전환을 위한 협의에 들어간 지 불과 3개월 만에 나온 성과

- 협약을 통해 5G 네트워크 구축뿐만 아니라 인공지능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교육도 함께 제공 예정

- 케냐 이동통신사는 화웨이의 통신장비를 활용하여 이르면 금년 말부터 5G망 구축에 착수할 방침

- 이 외에도 화웨이는 에티오피아 국영통신 에티오 텔레콤에도 5G 네트워크 장비 공급(5.10) 성공하는 등 아프리카 네트워크 시장에서 5G 전환 계약을 잇달아 성사

- 앞서, 조지프 무케루 케냐 정보통신부 장관은 기술 문제에 관한 한 우리는 미국의 정책에 좌우되지 않는다우리는 우리에게 최선의 것을 선택한다고 발표(2020.8)하며 5G 구축 사업에서 화웨이를 배제하지 않을 것을 시사

- 프리카 국가들은 경제적 이유로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화웨이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


ㅇ , 중남미 국가를 대상으로 한 ‘LATAM ICT Congress 2022’ 행사를 개최(6.23~24)하며 중남미 지역 주요 이동통신사의 화웨이 장비를 활용한 5G 전환 성공사례 공유

- 아메리카모빌 멕시코, 비보 브라질, 텔레콤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지역 주요 이동통신사에 자사차세대 5G 통신 장비(4T-8T-Massive MIMO)’를 공급

- 향후 지속적으로 중남미 이동통신사에 5G 장비를 공급하여 브라질, 멕시코, 칠레, 페루 등의 국가가 주요 통신망을 3G·LTE에서 5G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


ㅇ 남아 시장에서는 20202.6GHz 주파수로 5G를 상용화한 태국 중심으로 점유율 확대 모색

- 태국 정부와 어드밴스드인포서비스(AIS), 트루코퍼레이션 등 태국 주요 이동통신사와 함께 태국 5G 얼라이언스(Thailand 5G Alliance)’ 설립(6.16)

- 중 보건, 교육, 운송,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5G가 적용되도록 장려하고 공공과 민간의 협력 추진

- 앞서, 태국 국가방송통신위원회(NBTC), 씨리랏(Siriraj) 병원과 씨리랏 월드 클래스 5G 스마트 병원을 공동 개원(2021.12)하며 태국 ‘5G 스마트병원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

- 교통체증이 심한 태국에서 구급대원이 구급차에서 5G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 영상 바이탈 데이터 병력 등을 방콕 시리랏 병원으로 빠르게 전송


□ 중동 이동통신사 자인그룹과 10Gbps 속도의 5.5G 혁신 가속화 협력


ㅇ 화웨이와 중동을 대표하는 다국적 통신사업자 자인그룹은 중동 시장에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를 신속 도입하기 위해 기술 협약 체결(3.25)

- 화웨이는 자인 그룹의 기존 5G 네트워크 망에 업링크 중심 광대역 통신(UCBC)’, ‘실시간 광대역 통신(RTBC)’, ‘조화통신 및 감지(HCS)’, ‘사물인터넷(IoT)’ 등의 신기술을 적용할 예정

- 특히, 5G 네트워크 망에서 10Gbps의 통신 속도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5.5G 기술을 중동시장에 조기 도입 계획

- 이 외에도 화웨이와 자인그룹은 자율주행 네트워크 레벨의 기준을 정의하고 새로운 적용 사례를 조사하는데 협력할 방침

- 앞서, 자인그룹은 2019년 화웨이의 지원 아래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5G 상용 서비스 개시


6-1.PNG

□ 중동·아프리카에 태양광 데이터센터 건설하며 중동지역 디지털혁신 시장 공략


ㅇ 화웨이와 두바이 수도전력청(DEWA)은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태양광 전력 공급 데이터센터 건설 계약 체결(2.16)

-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내 최대 규모로 10가 넘는 공원부지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해 100% 친환경 전력으로 가동한다는 목표

- 완공 후 세계적 데이터센터 평가 기관으로부터 24시간 무중단 서비스가 가능한 티어3(Tier III certified) 표준 인증 획득 절차도 진행할 방침


ㅇ 한편, 화웨이의 차세대 데이터센터 설비는 친환경과 에너지 절약에 중점을 두고 모든 재료의 재활용을 극대화하며 친환경·스마트에 초점

- 화웨이 데이터센터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로 건설하는 방식이 아닌 공장에서 사전에 조립식 모듈로 만들어 건설

- 이로써 1,000개 캐비닛 용량의 데이터센터 건설 주기를 18개월 이상에서 6~9개월로 단축하며 시간과 비용 절감

- 또한, 이터센터에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5분 내 2,000개 캐비닛 검사를 완료하고 1분 내 140 개 알고리즘 조합에서 최적의 냉각 방식을 찾아내는 등 여러 가지 방면에서 비용도 절감

-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화웨이 데이터센터는 이를 강점으로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시장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