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연구성과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회계감사원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22-07-28
  • 등록일 2022-09-02
  • 권호 221

□ 회계감사원(GAO)은 연방기관이 지원하는 기초 과학 분야 연구 성과의 신뢰성 제고를 위하여 엄격성과 투명성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시한 보고서 발표*(’22.7)

* Research Reliability: Federal Actions Needed to Promote Stronger Research Practices


ㅇ 연방 정부는 다양한 분야의 기초 과학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나, 연구 결과를 재현*하거나 반복**할 수 없다는 지적이 계속됨에 따라 연구 성과에 대한 신뢰성 저하 문제 제기

* 재현가능성(reproducibility): 기존의 연구와 같은 데이터와 연산 과정, 분석 기법을 사용해 일관된 결과를 얻는 것

** 반복가능성(replicability): 기존 연구와 같거나 유사한 방법론을 활용하되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관된 결과를 얻는 것

- 그러나 국립학술원(NASEM)은 연구의 재현가능성과 반복가능성이 반드시 연구의 신뢰성을 보장하지는 않음을 지적하며,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학문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엄격성(rigor)과 투명성(transparency)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


1-1-

ㅇ 회계감사원은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인터뷰, 관련 문헌 조사 등을 통해 연구 엄격성 및 투명성 향상을 위해 연 기존 방법들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

* 다양한 과학 분야의 배경을 가진 학계 및 비영리 연구기관의 전문가 인터뷰 및 토론

과학 커뮤니티는 연구의 엄격성 및 투명성 향상을 위해 연구 사전 등록, 출판 전 논문, 데이터 보관소 등의 3가지 방법을 활용


1-2.PNG

- 이러한 방법을 활용함에 있어 관리행정 업무 부담, 연구자의 이해 부족, 데이터 보관소 및 서버 활용의 어려움, 일관된 표준과 최적 사례 부재, 다양한 출판 관행, 훈련 부족 등이 장애요인으로 작용

-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엄격성 및 투명성과 연계한 연방기관 지원금 프로세스 개선, 시범 프로젝트를 통한 점진적인 연구 관행 개선, 규정 준수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교육 지원 확대 등을 권고

- 또한 국립보건원(NIH), 국립과학재단(NSF), 항공우주국(NASA)에 연구프로젝트의 엄격성을 평가할 지표 정보를 수집하고 연구 투명성 달성을 위한 충분한 접근성을 갖추고 있는지 검토하여 필요한 정책을 수립시행할 것을 권고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