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정책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회계감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7-26
  • 등록일 2022-09-02
  • 권호 221

□ 회계감사원(GAO)은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 및 글로벌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피해 완화를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검토한 보고서 발표*(’22.7.)

* Semiconductor Supply Chain: Policy Considerations from Selected Experts for Reducing Risks and Mitigating Shortages


ㅇ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정책 대안을 파악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 완화 방안에 대한 의견 청취

* 17명의 기업 임원, 정부 관리, 비영리 조직, 학계 대표 등으로 구성

반도체 공정은 크게 설계, 제조, 조립시험포장의 세 단계이며, 국가별로 서로 다른 공정 단계에 특화된 국제적 분업 체계를 이루고 있음


ㅇ 2020년에 시작된 반도체 부족 현상은 미국 내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의 글로벌 반도체 생산비중 감소 및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확산

- 상무부(DOC)는 글로벌 반도체 부족의 영향을 분석(’21)하여 반도체 제품의 고객 재고가 감소*함에 따라 의료기기, 자동차, 브로드밴드 등의 산업에서 심각한 수요-공급 불일치 현상이 나타났고 다양한 피해로 이어졌음을 확인

* 고객 재고(consumer inventories): ’1940일 분량 ’215일 미만의 분량으로 감소


2-1.PNG

ㅇ 보고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총 371개의 정책 아이디어를 정리하여 77개의 잠재적 정책 옵션을 파악한 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5대 부문의 정책 과제를 제시

전문가들은 단일 부문의 정책 대안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정책 추진을 권고


(1) 인력양성

- (STEM 훈련) STEM 교육 및 훈련, 장학금 등을 제공하고 첨단 설비 및 시제품 제작 시설 등을 건설하여 우수 인력 유치 및 역량 강화 지원

- (이민 제도 개혁) 국내 근로자 훈련을 강화하는 한편 박사 학위 취득자가 미국에 남아 근무할 수 있도록 비자 제공 상한 확대면제


(2) 공급망 강화

- (공급망 안보) 기술 표준 조정, 새로운 오픈소스 모델 설정 및 표준화, 공급망 리스크를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주요한 소재(재료) 비축 및 관리

- (공급망 모니터링) 반도체 공급망을 모니터링하고 기업공급자국가가 병목현상을 파악하여 반도체 부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높이는 정책 추진

- (중요 소재 접근성 확보) 네온, 게르마늄, 고순도 용매 등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중요 소재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 소재 연구를 통한 대체물 발견 추진


(3) 연구개발(R&D)

- (재정 지원) R&D를 위한 재정적 지원의 중요성에는 공감하나 직접 지원금, 세금 공제 등의 구체적 지원 형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 존재

- (공공-민간 파트너십) 혁신 성과의 상업화 및 제작을 위한 민관 파트너십이 중요하며 이 과정에서 국립연구소 및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의 역할 강조

- (지역적 조정) 지역의 기술 허브 및 혁신전략을 조정해야 하며 효율적 제조를 위한 제조 생태계 구축, 지역 연구 허브를 제조 현장 근처에 조성

- (국가 혁신 전략) 기존 혁신 생태계의 공백을 메우고 전문성을 촉진하는 종합적 국가 반도체 혁신 전략에 대한 투자 필요


(4) 제조 역량

- (재정 지원) 제조 설비 확충을 위한 재정 지원의 중요성에는 동의하나 구체적인 지원 형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

- (규제 간소화) 제조 시설 건설 기간 단축을 위한 규제 검토 절차 간소화, 패스트 트랙 도입, 범부처 팀을 구성하여 불필요한 규제 철폐


(5) 무역 및 국제적 조정

- (무역 조치) 지적재산권 보호, 핵심기술에 대한 관세 인하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기존 무역 협정 갱신 및 새로운 다자간 무역 협정 추진

- (국제적 조정 강화) 공동 기술개발 및 혁신을 위한 협력을 추진하고 반도체 제조기업에 대한 국가 간 인센티브 경쟁 방지를 위한 조정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