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독일, 미래 의료기술에 대한 시민설문조사 결과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5-08-24
  • 등록일 2015-09-21
  • 권호 54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미래에 대한 시민과의 대화 프로그램인 ‘미래포럼’을 진행하며 첫 주제로 ‘미래

   의료기술’을 선정하고 의료분야의 신기술에 대한 시민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발표(2015.8.24)

□ 주요 추진내용


○ BMBF는 시민과의 대화인 ‘미래포럼’을 위해 2017년까지 다양한 미래 주제에 대한 설문조사(미래모니터링)를 실시하고, 50명의

    시민이 참여하는 워크숍(미래의 날)과 장관과 시민들과의 열린대화(미래의 밤) 행사를 진행


 - 다양한 연령층의 남‧여 시민과 과학계 및 정부 인사가 참여하여 미래(2030년)에 대한 핵심 질문과 장기적 관점에서의 혁신

    정책에 대해 토론을 진행


 - 시민과의 대화 결과는 BMBF의 평가를 거쳐 장기 혁신 전략 수립에 활용될 예정


○ BMBF 미래 포럼의 첫 번째 주제는 ‘새롭게 생각하는 건강: 최첨단 의료와 자율최적화(Selbstoptimierung)*에 의한 복지’


   * 자율최적화(Selbstoptimierung) : 다양한 디지털장비로 신체의 기능 및 이동, 운동 등을 측정, 앱 등을 통해 건강한 삶을

      스스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


 - BMBF는 '미래의 밤' 행사를 맞아 미래의료에 대한 시민 설문조사를 실시


 - 베를린에서 ‘미래의 날’ 워크숍(8월 22일)과 ‘미래의 밤’ 행사(9월 8일)를 개최

□ 의료의 미래에 대한 시민 설문조사


○ 설문조사는 2015년 7월 10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약 1,000명이 응답**

  ** https://www.zukunft-verstehen.de/application/files/7514/4042/1809/ZukunftsForum_I_Ergebnisse_ZukunftsMonitor.pdf

○ 건강 및 돌봄 분야의 신기술에 대한 시민 인식조사 주요 결과 

 

<원격의료와 원격돌봄에 대한 시민의 인식 정도>  

 

이용해 본적 있음

알고 있음

들어본 적 없음

스마트폰 앱

8%

56%

36%

스마트 홈

5%

51%

44%

웨어러블 장비

-

40%

59%

원격의료

-

31%

68%

원격돌봄

-

30%

70%

 

 

<웨어러블 및 원격돌봄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 

 

기회로 인식

위험으로 인식

모름/무응답

웨어러블 장비

55%

34%

11%

원격돌봄

51%

39%

10%

스마트홈

47%

43%

9%

스마트폰 앱

47%

41%

11%

원격의료

38%

52%

10%

 

 

<미래기술을 기회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수 비교(지방/도시)> 

 

지방

도시

웨어러블 장비

55.3%

55.8%

55.4%

원격돌봄

53.9%

44.1%

50.8%

스마트홈

49.9%

41.7%

47.3%

스마트폰 앱

48.0%

45.2%

47.1%

원격의료

38.9%

35.0%

37.7%

 * 인구 10만명을 기준으로 미만은 지방, 이상은 도시로 구분 

 

 

<미래기술을 통한 정보의 인터넷 공개 및 활용에 대한 인식>

주요 질문

답변

스마트폰 앱이나 웨어러블 등으로 측정한 건강정보를 소셜미디어와 같은 인터넷에 공개할 의향

이미 공개(3%), 의향 있음(32%), 의향 없음(62%), 모름/무응답(3%)

언제 어디서든 개인의 건강정보를 인터넷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

아주 좋음(5%), 좋음(38%), 나쁨(31%), 아주 나쁨(17%), 모름/무응답(9%)

스마트 의복을 통한 신체정보 측정에 대한 의견

아주 좋음(5%), 좋음(37%), 나쁨(30%), 아주 나쁨(18%), 모름/무응답(10%)

스마트 의복 및 스마트폰 앱을 통해 수집 및 분석된 개인의 습관을 의료보험 비용 계산에 고려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

아주 좋음(3%), 좋음(22%), 나쁨(30%), 아주 나쁨(37%), 모름/무응답(8%)

 

 

<로봇 등 신기술의 의료 분야 활용에 대한 인식> 

주요 질문

답변

환자를 돌보는 로봇 활용에 대한 의견

아주 좋음(2%), 좋음(24%), 나쁨(29%), 아주 나쁨(38%), 모름/무응답(7%)

청각, 기억력 향상 등,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수술이나 의료에 대한 의견

아주 좋음(11%), 좋음(40%), 나쁨(25%), 아주 나쁨(15%), 모름/무응답(10%)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수술이나 의료 행위에 대한 긍정도

젊은 층(14-19)의 긍정도 최고(62.3%)

 

 

<신기술의 위험성‧프라이버시 침해와 규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 

주요 질문

답변

건강 및 돌봄 분야의 신기술은 위험성이 정확히 알려진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함

그렇다(91%), 아니다(7%), 모름/무응답(2%)

건강 및 돌봄 분야에서 어떤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사람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주어야 함

그렇다(85%), 아니다(10%), 모름/무응답(5%)

정치권은 건강 및 돌봄 분야의 연구 및 관련 기술에 대한 강력한 규제 법안을 마련해야 함

그렇다(80%), 아니다(14%), 모름/무응답(6%)

건강 및 돌봄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 이용 증가가 프라이버시 위험을 증가시킴

그렇다(71%), 아니다(23%), 모름/무응답(6%)

 

 

<신기술의 활용으로 인한 기회에 대한 인식>

주요 질문

답변

건강 및 돌봄 분야의 기술은 인류에 위험보다는 기회를 줌

그렇다(55%), 아니다(33%), 모름/무응답(12%)

사람들은 최상의 상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건강 및 돌봄 분야의 기술을 사용해야 함

그렇다(54%), 아니다(35%), 모름/무응답(12%)

 

 

□ 결론


○ 건강 및 돌봄 분야 신기술에 대한 독일 시민인식 설문조사 결과, 절반 정도가 일부 신기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며

    위기보다 기회가 많다고 응답


 - 거주 지역별로는 도시민보다 지방지역 주민이, 중장년층보다는 젊은 층이 신기술에 조금 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림


○ 그러나 신기술의 위험성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 강력한 규제 법안의 마련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남


 - 우리나라도 기술영향평가 과정에서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한 시민포럼을 운영하고, 자유로운 의견 개진을 위한 온라인 참여

    창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신기술의 위험성을 보완할 정책적 대응방안 마련에 적절한 반영이 필요  

 


출처 : 독일연방교육연구부 (2015.8.24) 등
http://www.bmbf.de/press/3839.php
https://www.zukunft-verstehen.de/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