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EU의 반도체 정책 및 법안 개요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2-08-17
  • 등록일 2022-09-16
  • 권호 222

□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EU의 디지털화 정책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도가 높은 관련 법안 등의 동향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 공표(’22.8)

이중 ‘22.2월에 발표한 EU의 반도체 법안을 중심으로 내용 정리


 '20년 가을경부터 계속된 세계적 반도체 부족으로 자동차, 에너지, 통신, 헬스케어, 방위, 안보, 우주 등 광범위한 EU 산업도 반도체 공급 부족 경험

- EU가 특정 국가의 소수 기업으로부터의 반도체 공급에 의존하고 있어 수출 제한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해 구조적 취약성을 갖고 있으며, 위조 반도체가 시장에 유통되기 시작하여 전자기기 시스템의 안전성 훼손 우려 제기

유럽위원회는 ’2222개 법안과 1개의 권고 발표


ㅇ 반도체법은 EU의 반도체 정책에 관한 핵심 법안으로 3개 분야의 정책 및 거버넌스에 대해 규정

(1) 유럽 반도체 이니셔티브

- 반도체와 관련된 연구개발 보조금 프로그램인 유럽 반도체 이니셔티브(Chips for Europe Initiative)창설 제안

- 유럽 반도체 이니셔티브는 '21~'27EU MFF에 포함되어 호라이즌 유럽과 디지털 유럽 프로그램에서 각각 천만 유로를 상한으로 지출

- EU 전체에서 대규모 기술능력 개발과 혁신을 지원하고 최첨단 차세대 반도체와 양자기술 개발 및 추진을 가능케 함으로써 EU에서 고도의 설계, 시스템 통합, 반도체 제조 능력을 강화하여 EU의 디지털화와 탄소 중립경제의 이행에 기여


(2)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

- 반도체 법안 II 장에서는 EU에서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틀로서통합 제조시설오픈 EU 파운드리를 인정하고 EU 경쟁법상 국가보조규제상의 심사를 포함한, 조건을 충족하는 반도체 제조시설에 대한 인허가를 쉽게 할 것을 제안

* 통합제조시설이란 반도체의 설계와 제조를 하는 제조시설이고, 오픈 EU 파운드리란 타사가 설계한 반도체의 제조위탁을 받는 제조시설을 의미


(3) 모니터링 및 위기 대응

- 반도체 법안 IV장에서는 반도체 가치사슬 관련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EU 역내 시장의 정상적 기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공급 중단에 대응하기 위한 메커니즘 제안

모니터링

- 반도체 가치사슬 관련 모니터링은 회원국에 의해 정기적으로 실시되며, 회원국은 유럽 반도체 평의회(European Semiconductor Board)에 모니터링 결과를 보고하고 잠재적 반도체 위기가 감지될 경우 유럽위원회에 통지

- 잠재적 반도체 위기가 감지될 경우 유럽위원회는 유럽반도체평의회를 소집하여 위기단계의 발동이 필요한지, 공동구매의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

- 유럽위원회는 EU를 대표해 EU 역외국과 협의·협력하며(15). 국제적 협의·협력 상대국으로는 EU 미국무역기술평의회(TTC), 한국, 일본, 싱가포르, 대만과의 디지털정책 산업대화*가 존재

* Digital Policy and Industrial Dialogues

위기 단계

- 반도체 공급의 심각한 혼란이 중대한 부족으로 이어져 EU의 중요한 경제 분야에 심각한 지연, 악영향을 초래하거나 중요 섹터에서 사용되는 제품의 공급, 수리, 보수가 어려워지는 경우 반도체 위기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

- 이러한 경우 유럽위원회는 시행규칙으로 위기단계 발동(18)하며 위기 대응 정책 실시*

* 유럽위원회는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supply-chain)에 속하는 업계 단체, 개별 사업에 대해 생산능력, 발생하고 있는 주요 문제에 대한 정보, 기타 기존의 데이터를 유럽위원회에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20) 위반시 30만유로 이하의 벌금 부과(28)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