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사이버 보안 의식・행동 강화 프로그램 공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관방 정보보안센터(NISC)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11-01
  • 등록일 2022-11-25
  • 권호 227

□ 일본 정부는 Cybersecurity for All~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사이버 보안을 실현하기 위해 산관의 보급 활동에 관한 대응 지침을 기술한 사이버 보안 의식행동 강화 프로그램공표(’22.10)


ㅇ 디지털화 추진에 따른 사이버 공격이 교묘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국민 개개인이 스스로 사이버 보안 대책을 파악할 필요성 증대

- ‘사이버 보안 전략’(’21.9)을 작성하였으나 코로나19 확산 등 사회경제 정세의 변화에 따른 원격 작업 및 온라인 교육 등 모든 국민의 디지털 기술 활용과 사이버 공간 참여가 가속화된 상황을 반영하여 개정판 공표


. 대상에 따른 구체적 대응 방안


(1) 중장년층실업자


ㅇ 사이버 보안에 관한 의식 제고 및 지식 확대 등 관련 대책

-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활용 지원추진사업에서 보안 콘텐츠 정비, 전국에서 실시 중인 인터넷 안전 교실을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추진 등

- 인터넷 이용 시 의문 및 불안감을 느꼈을 때 편하게 상담할 수 있는 상담창구에 대한 홍보 강화*

* IPA 정보보안 안심 상담 창구, 각 지자체 경찰본부, 경찰서 등의 상담 전화 #9110


(2) 아동 및 가정


ㅇ 인터넷 활용에 필요한 정보윤리 및 지식을 강화, 보조하는 정책

- 초중고의 정보보안 관련 교육 강화

- 학생, 보호자,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한 강좌 제공과 지자체 경찰의 사이버 방범 자원봉사 활동 촉진


(3) 중소기업 및 조직


ㅇ 사이버 보안대책을 마련하는 자원이 한정된 조직 등에 대한 지원

- 사이버 보안 경영 가이드라인개정과 중소기업 및 조직의 사이버 보안 대책을 지원하는 사이버 보안 지원 서비스 보급

- 산업계 주도의 공급망 사이버 보안 컨소시엄(SC3)을 통한 공급망 대책 추진


. 주체별 연계강화


(1) 지역에 의한 지원


ㅇ 각 지역 및 업종별로 서로 자율적으로 지원하는 환경 및 시스템 구축

- 지역의 사이버 보안커뮤니티 구축 추진*

* 지역 SECUNITY(Security+Community), 지자체 경찰이 구축하는 협의회 등

- 지역 및 산업계가 신뢰 가능한 상담창구 집약 및 가시화


(2) 콘텐츠 정비 및 공통화


ㅇ 각 주체가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정비하여 국민의 편의성 향상

- 각 주체의 사이버 보안 보급 활동을 집약하여 NISC 사이버 보안 포털사이트에 게재

- 인터넷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핸드북 및 사이버 보안 관계 법령, Q&A 핸드북 등 각 지침서 정비


(3) 정보 제공


 SNS 등 정보 발신 도구의 기능 및 역할 명확화를 통한 효과적인 정보 제공

- SNS 공식 계정 및 웹사이트에 사이버 보안 관련 정보의 지속적 발신

- 각 정책의 보급과 인지도 향상을 목적으로 한 세미나 등 개최


(4) 집중적 보급


ㅇ 각 주체가 시행하는 각종 대응을 효과적으로 홍보하여 국민 의식 제고

- ‘사이버 보안 월간과 같이 콘텐츠 내실화를 위한 대응, 각종 보급 주체와의 제휴협동을 통한 인지도 향상 대응 요망

- 전 국민이 시행해야 할 기본적 사이버 보안대책으로서 사이버 보안 대책 9개 항활용


ㅇ 각종 가이드라인 및 상담창구가 정비되어 국민이 적절한 정보를 참조하고, 불명확한 점은 상담 가능한 체제 정비


ㅇ 직장인에서 아동, 중장년층, 중소기업 조직에서 가정으로 세대와 소속을 초월하여 적절한 보안대책 전파


ㅇ 각 주체가 서로 협력하여 모든 국민과 조직이 최소한의 사이버 보안 대책 실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