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이 STEM 교육에 중요한 요소로 대두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5-10-01
- 등록일 2015-10-26
- 권호 56
□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과 같이 STEM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활성화시키는데 중요하다는
보고서*를 발표(2015.10.1)
* ‘오후 3시 이후의 미국(America after 3PM)’, 방과후교육협회 : 방과 후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 전국적으로 활동하는 협회
□ 조사 개요
○ 최근 10년간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어린이들은 650만 명에서 1,000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방과 후 프로그램을 통한
STEM 교육기회도 함께 증가
※ ’16년 STEM 교육 분야의 예산은 30억 달러로 2015년에 비해 3.8% 증가했고, 향후 10만 명의 STEM 관련 교사를 양성할 예정
(Progress report on STEM Education, 2015.3.25)
○ 본 연구 보고서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방과 후 프로그램의 선정 기준, STEM 관련 교육**의 참여도, 부모의 만족도 등을 조사
** 과학교육, 기술교육, 공학교육(로봇 제작, 다리 제작, 환경문제 해결 등), 수학교육(수학게임, 기하학 블록을 가지고 하는
퍼즐이나 놀이 등)을 STEM 관련 교육으로 정의
□ 조사 결과
○ (선택 기준) 부모는 방과 후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STEM 관련 여부보다 안전성, 돌봄의 질, 장소의 편의성, 전문 인력, 지식
전달, 자녀의 기쁨 등을 중요하게 인식
○ (참여도) 방과 후 프로그램은 숙제도우미, 신체 활동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하고 STEM 분야 관련 프로그램 중에서는 수학-
과학-기술-공학 순으로 참여
- 대도시는 방과 후 프로그램 관련 교육기관이 많고 학부모의 STEM 교육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 중소도시, 지방에 비해
STEM관련 프로그램에 높은 참여도를 기록
- 성별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 참여도의 차이는 미미한 수준
○ (만족도) 대다수의 부모는 방과 후 프로그램을 통해 STEM 분야에 흥미를 느끼고 관련 스킬을 배울 수 있다고 동의
- STEM 관련 분야의 지식 습득 외에도 방과 후 프로그램을 통해 팀워크․리더십․비판적인 사고능력의 향상의 효과가 있음
- (소득 수준)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 수준의 부모가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기록
□ 정책적 제언
○ (부모의 인식 향상) 만족도에 비해 STEM 관련 여부가 방과 후 프로그램의 선택 기준으로 고려되지 않아 STEM 지식 및 관련
스킬 습득의 중요성에 대해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
○ (기술․공학 프로그램의 증설) 기술․공학 설계, 제작, 코딩, 프로그래밍 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
○ (파트너십) STEM 교육 기관은 대학, 과학 센터, 박물관, 산업체 등과의 교류를 통해 풍성한 STEM 교육을 제공하고 경험을
공유하여 정책을 개선
○ (기타) STEM 관련 프로그램의 영향평가를 위해 학업성취도 외의 다양한 지표개발과 국가, 주정부, 지역 수준의 투자 확대가
필요
□ 시사점
○ 방과 후 교육은 STEM 분야의 지식 전달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심층적인 사고능력, STEM 분야 흥미 유발 등 긍정적인
요소가 있음
○ 학업성취도*는 높지만 학교 교육에 대한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우리나라의 경우 방과 후 교육활동, 특히 STEM 분야 교육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76개국을 상대로 조사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한국은 싱가포르, 홍콩에 이은 3위 (2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