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23년 사이버 보안(Cyber security) 이슈와 트렌드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MIT Technology Review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2-12-06
  • 등록일 2022-12-23
  • 권호 229
□ 디지털 서비스 시대의 신뢰할 수 있는 사이버 환경 중요


ㅇ 최근 AIIoT클라우드빅데이터 등이 일상생활에 깊숙이 파고들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이버 공격 표적으로 쉽게 노출되어 사용자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침해


ㅇ 해킹보안 사건이 지속 발생하면서 개인 정보 유출 등 사이버 보안에 대한 불안감 가중

- 간편결제 금융 애플리케이션 페이코의 서명키*가 외부로 유출(12.5)되면서 페이코 앱으로 가장한 악성 앱이 비정상 경로로 유포될 위험 증가

* 서명키는 본인 여부를 인증할 때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데이터

- 북한 정찰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단체 라자루스가 가짜 암호화폐 사이트를 만들어 악성코드 애플 제우스(AppleJeus)’를 배포한 정황도 포착(12.1)


ㅇ 아울러 컴퓨팅 능력과 스토리지를 갖춘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사용자 개인정보 등을 일괄 보관하는 기업이 증가하며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배가되고 있는 상


□ (Acronis) 인증정보 탈취랜섬웨어데이터 유출메시징 서비스 공격 등 선정


ㅇ 사이버 보안 기업 아크로니스는 ‘202310대 사이버 보안 위협 요소발표(11.27)

- 인증정보 탈취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이메일을 넘어 메시징 서비스 공격 암호화폐 거래, 스마트 계약 서비스 제공기업의 소프트웨어를 통한 침투 브라우저를 통한 공격 API를 통한 공격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약점을 분석해 공격 AI/ML을 이용한 공격 증가를 선정


2-1.GIF

□ (IGLOO Corporation) 보안 위협 대응 위한 AI 기반 보안IT-OT 융합보안 중요성 강조


ㅇ 이글루코퍼레이션 보안분석팀은 2023년 보안 위협에 대한 주요 예측을 담은 ‘2023년 보안 위협기술 전망 보고서를 발표(12.8)


2-2.GIF

- 디지털 대전환에 따라 이기종 산업과 기술이 융합되는 빅 블러(Big Blur)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연쇄적인 피해를 야기하는 지능화된 공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이에 따라 IT 산업 내 영향력이 높아진 오픈소스 플랫폼을 노리거나 소프트웨어 기반 공급망 환경 전반에 영향을 주는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

- 또한, 사이버 공격의 서비스화로 인해 랜섬웨어 파급력이 커지고 더불어 가상화폐 생태계를 노리는 공격이 지속되며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국가 단위의 사이버 공격 역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

- 이러한 위협에 맞서 다양화된 인프라와 자산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보안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과 방법론이 부각될 전망

- 보안 오케스트레이션자동화 및 대응(SOAR) AI자동화 기술 기반 지능형 보안관제 솔루션 도입이 늘어나고 정보기술운영기술(ITOT) 영역을 아우르는 융합보안 모니터링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할 것으로 예측

- 또한, 디지털 전환에 발맞춰 공격표면관리(ASM)*와 클라우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데이터 경제 시대 도래에 따라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보안 이슈 역시 부각될 것으로 전망

* 공격 표면 관리(attack surface management, ASM)는 조직의 공격 표면을 구성하는 사이버 보안 취약성과 잠재적 공격 벡터를 지속적으로 발견, 분석, 해결, 모니터링하는 활동


□ (ESTsecurity) 디지털 신분증 확대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상자산 탈취 공격 기승


ㅇ 이스트시큐리티는 2023년 두드러질 것으로 관측되는 사이버 위협 다섯 가지를 선정(12.12)


2-3.GIF

□ (MIT Technology) 랜섬웨어암호화폐 등의 사이버 공격 지속


ㅇ MIT 테크놀로지는 ‘2023년 전 세계를 흔드는 해킹과 랜섬웨어보고서를 발간(11.28)



2-4.GIF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