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백악관, ‘스마트시티(Smart Cities)’ 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09-14
- 등록일 2015-10-26
- 권호 56
□ 미국 백악관은 각종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총 1.6억 달러 규모의 R&D 투자계획을 포함하는 스마트 시티(Smart
Cities)*’계획을 발표(2015.9.)
* 데이터 혁명과 저비용 센서, 협동 연구 등을 통해 주민들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를 꾸준히 수집‧축적‧활용해 나가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정의
○ 스마트 시티의 추진 목적
- 교통혼잡 해소, 범죄예방, 경제성장 촉진, 기후변화 대응, 공공서비스등과 관련된 지역문제해결
○ 연방정부의 자원을 지역의 수요에 매칭하고, 지역 사회가 주도하는 솔루션 발굴을 지원하기 위한 포괄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추진
※ 스마트 시티(Smart Cities) 계획의 추진배경
• 최근 전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도시지역 인구집중 현상에 따라 주요 선진국들은 경제‧교통‧환경‧교육‧생활‧행정 등의분야에서 IT를 활용하여 각종 현안 문제해결 및 생활수준 향상, 경제발전 등을 촉진하는 스마트 시티를 추진 중
- 2012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총 35억 명인 도시 지역의 인구는 20년 후에는 50억 명에 이를 전망(Pike Research, 2012)
• 오바마 행정부는 취임 직후(제1기)에 ‘그린 뉴딜정책’을 제시하여 에너지 사용 효율화 및 지구 온난화 대책 등에 관한 계획을밝혀왔으나, 경제침체 등으로 인해 2010년 이후 관련분야 추진 실적이 부진
• 반면, 2012년 10월 미국 동북부의 허리케인 피해는 온난화 대책 및 도시 인프라 개선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계기로 작용
- 100명 이상의 사망자와 대규모 정전을 일으킨 허리케인 샌디는 온난화에 의한 태평양 해수 온도의 상승 영향으로 발생한것으로 알려졌으며, 대규모 정전사태로 인해 전력 공급 시스템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
• 오바마 행정부는 스마트 그리드를 주축으로 하는 그린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서, 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제고, 교통부문 정비 등을 위하여 1,500억 달러의 보조금 제공 및 환경 분야 50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제시
□ 스마트 시티 추진을 위한 오바마 행정부의 4대 전략
○ 잠재력을 가진 사물인터넷(IoT) 테스트베드 지역을 선정하고, 산학연 및 공공연구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지역 협력모델 개발
○ 지역문제해결에 관심이 있는 시민, 기업, 비영리기관 등 민간기술 분야 간 협력을 강화하고, 도시 간 협력을 촉진
○ 기존 연방정부가 가진 다양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기술영역*의 활동을 더욱 촉진
* 센서 네트워크, 브로드밴드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보안 투자, 지능형 수송 시스템 등
○ 기후변화 및 도시 인구 집중, 자원고갈과 관련한 상품, 서비스 수요가 집중된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들과의 국제협력 추진
□ 스마트시티 계획을 위한 1.6억 달러의 주요 부처 및 연구소별 내역
○ (3,500만 달러, 국립과학재단) 2016년도 회계예산으로 편성하여 스마트시티 관련 기금 및 기획예산으로 사용
투자분야 | 투자액 |
보건 및 공공안전 분야의 혁신을 위한 기가비트급 차세대 인터넷 개발 및 실증연구 | 1,150만 달러 |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ms Program)* 개발 * 사이버 세계(cyber world)와 물리적 세계(physical world)의 통합 시스템으로 사물들이 서로 소통하며 자동적, 지능적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으로서, 차세대 자동차, 항공기, 신무기/전투 체계, 고효율 스마트 그리드, 실시간 적응형 스마트 교통체계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 | 1,000만 달러 |
삶의 질 향상, 건강 및 웰빙, 지역 내 학습을 지원할 통합적인 디지털 도구 개발 | 750만 달러 |
혁신적 연구 기술을 스마트 서비스 시스템분야로 이전ㆍ활용하기 위한 산학협력 지원 | 400만 달러 |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확대를 위한 시카고대 지원 ** 시카고 시내 신호들에 센서를 부착을 통해 교통문제를 연구‧해결하는 프로젝트 | 300만 달러 |
‘Smart and Connected Health’ 프로그램 신규 연구 자금 지원 | 250만 달러 |
합계 | 3,500만 달러 |
○ (5,000만 달러, 국토안보부)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의 협력을 통해 향후 5년간 최첨단 긴급대응기술개발 추진
※ 상황인지 및 개인보호를 위한 장비개발 프로그램(Next Generation First Responder Apex Program)
○ (4,000만 달러, 교통부) 맨해튼 및 템파 등 교통혼잡 지역에서 추진되는 ‘Connected Vehicle Pilots’ 등 차세대 교통시스템 개발
○ (1,000만 달러, 에너지부) 스마트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저탄소 배출 도시를 위한 기술 개발 투자
- 미래 교통시스템에서의 에너지와 이동성 연구를 위한 SMART Mobility 컨소시엄 및 High Impact Technology Catalyst* 등
* 자가설정 및 자가 운행, 자가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빌딩 구축 프로젝트
○ (1,000만 달러, 상무부) 지역 내 문제해결을 위한 스마트 시티 기술을 활용하는 벤처기업 지원
○ (450만 달러, 환경보호청) 저비용 센서기술을 활용하는 도심 내 공기 질 연구 및 Village Green Project** 지원
** 오클라호마, 시카고, 하트퍼드 등 세 지역의 대기 질 모니터링 및 분석 Pilot Test
□ 시사점
○ 스마트시티의 개념을 IT기반의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아닌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이라는 관점으로 확장ㆍ접근
○ 문제해결 관점의 접근이 결국 관련분야 기술간 융합을 지속적으로 촉진해 ‘융복합형태의 솔루션(convergence solution)’을
도출
○ 또한, 이를 위해 개인에서부터 시민 공동체, 기업, 대학, 연구소, 정부기관이 협력하는 모델을 구축ㆍ추진
○ 복합화ㆍ고도화 되어가는 도시문제의 종류와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실태연구에서부터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연구
지원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