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애플, 디스플레이・반도체 등 부품 내재화 속도내며 생태계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뉴시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1-12
  • 등록일 2023-02-03
  • 권호 231

차세대 애플워치에 자체 설계개발한 디스플레이채용 움직임


iOS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편의 제공, 사용자 경험 차별화에 방점을 두고 독자 생태계를 구축해 온 애플은 반도체에 이어 디스플레이도 자체 기술개발 추진

- 2024년 말, 늦어도 2025년에는 애플워치 울트라에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대신 자체 설계제작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으로 관측(Bloomberg, 1.11)

- 20145월 스타트업 럭스뷰(LuxVue) 테크놀로지 인수, 2017년 코드명 ‘T159’ 하에 마이크로LED 프로젝트 시작 등은 차기 제품군에 마이크로LED를 적용하려는 애플의 행보를 뒷받침

럭스뷰 테크놀로지는 저전력 기반의 고휘도를 실현할 수 있는 마이크로LED 개발회사


ㅇ 애플워치를 시작으로 아이폰, 아이패드 등 다른 차기 제품에도 자체 개발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다는 구상

- 이는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을 외부 회사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제작하여 빈틈없는 사용자 경험, 차별화 서비스, 고객을 하나의 울타리(Gardened Wall)’ 묶는 Lock in 전략 일환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콘텐츠를 아우르는 디지털 생태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애플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진입 장벽도 높이는 것


2-1.PNG


애플은 설계기술을 확보하고 위탁생산하는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LED 자체 생산이 아니라 외부 기업에 위탁하는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관측

- 반도체의 경우 아이폰에 적용하는 AP칩과 맥북 등에 들어가는 PCCPU 등을 자체 설계하고 생산은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가 담당하는 방식


애플 디스플레이 독립기존 디스플레이 시장과 업계에 미칠 영향에 촉각


디스플레이 시장은 전통의 강자인 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와 중국 업체의 추격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 애플이라는 새로운 플레이어가 등장한 셈


(#1) 애플이 위탁생산 방식을 선택할 경우, 애플워치 OLED 주 공급사인 LG디스플레이의 물량 축소 리스크가 있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새로운 수익 활로 모색도 가능

- 애플워치 디스플레이 공급의 약 80% 비중을 LG디스플레이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의 마이크로LED 채택 시 상대적으로 LG디스플레이 물량은 축소타격 예상

-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이미 중국산 저가 물량 공세로 위축된 상황에서 애플까지 자체 디스플레이를 적용한다면 물량이 축소되면서 수익에 타격 요인

- 하지만 애플의 마이크로LED 물량을 수주 받아 위탁 생산하게 된다면 중국 업체에 밀린 LCD 시장의 열세를 만회하는 등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 가능

- 디스플레이 시장조사기관 DSCC의 대표, 로스영(Ross Young)애플은 마이크로LED 설계와 제조 전체를 수행하지 않을 것이며(Apple won‘t do the full process), LG디스플레이가 위탁생산을 맡을 공산이 크다고 트위터에 게재

LG디스플레이는 이미 마이크로LED 백플레인(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는 회로 소자가 포함된 뒷면)을 위한 작은 라인을 구축했다는 것


(#2) 높은 가격, 대량 생산, 아이폰 등 중소형 제품으로 확대 채용까지 상당 기간 소요될 수 있어 단기적으로 큰 타격은 없을 전망

- 현재 스마트워치용 패널 가격과 비교해 마이크로LED 기술을 적용한 워치 패널 가격이 훨씬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실제 적용가능 시점은 2025년 이후가 될 수도 있다는 관측

- 또한 중대형 화면에 마이크로LED 도입 시 생산 비용 효율성이 낮고 가격적인 문제로 아이폰 같은 더 큰 화면의 제품으로 단기간에 확장은 쉽지 않다는 것

- 마이크로LED 대량 생산을 하려면 대규모 투자비 증가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향후 수 년간 애플은 한국 업체로 부터의 디스플레이 조달은 유지 전망

아이폰14 OLED 패널 공급은 지난 20226~9월 간 삼성디스플레이가 82% 차지


부품 내재화의 출발점 반도체모바일PC통신 등 전방위적으로 확대


스마트폰 등 HW 기업으로 출발한 애플은 iOS 기반으로 SW 혁신을 창출한 데 이어 자체 반도체까지 설계개발하면서 전방위적으로 독자 생태계 구축에 박차

- (애플 실리콘) ARM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설계한 시스템 온 칩(SoC) 및 시스템 인 패키지(SiP) 프로세서. 아이폰 및 주변기기(패드, 워치 등)에 장착해 시너지 발휘


2-2.PNG

- 2010년 이후 자체 설계한 모바일AP(A 시리즈) 채용을 시작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오디오 처리 등을 수행하는 반도체를 자체 설계하며 호환성 및 안정성 제고

-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매킨토시 플랫폼 등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홈팟, 아이팟 터치, 애플 TV 등 제품에도 사용, 또한 에어팟용 H1이라고 불리는 SoC 설계

- 하드웨어 간 시너지를 바탕으로 다른 기업은 제공하지 못하는 인터페이스 편의 및 독특한 사용자 고객 경험(멀티터치, 에어드롭 등)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일조

- (인텔의 독보적 시장 CPU 영역 진출) 인텔로부터 칩을 공급받아온 애플은 2020년 하반기 맥북 에어, 맥북 미니에 자체 개발한 M1 반도체를 적용해 제품 간 통합성 향상 및 독자 생태계 강화

- M1CPUGPU(그래픽처리장치), 신경망처리장치(NPU), 메모리(RAM) 등을 하나의 칩으로 통합한 고성능 시스템반도체로 아이폰(Mac) 등 애플 HW 기기에 장착

- 이후 WWDC 2022에서 선보인 차기 버전 M22세대 5나노미터 기술과 200억 개 트랜지스터를 사용해 설계제작하여 우수한 속도와 전력효율, 통합 메모리 아키텍처, 강력한 보안 성능 제고

- 전작인 M1 대비 18% 향상된 속도의 CPU, 35% 강력한 수준의 GPU, 40% 향상된 속도의 뉴럴엔진 장착, 50% 확장된 메모리 대역폭과 최대 24GB의 고속 통합 메모리 등 진일보

- 뉴럴엔진은 초당 최대 158,000억 회의 연산을 처리하며 이는 M1 대비 40% 향상된 처리량

- M2는 새로운 맞춤형 기술 탑재, 효율성 강화의 강점을 살려 맥북에어와 맥북프로13에 탑재되었으며 올 초(1.17) 전력 효율성 등을 더욱 높인 후속 버전 M2프로, M2맥스 공개하며 진일보

1.17M2 칩의 가장 강력한 버전인 M2프로와 M2맥스를 탑재한 신형 고급 노트북 맥북 프로 출시


2-3.PNG


ㅇ 또한 애플은 브로드컴으로부터 공급받는 무선 주파수 칩과 무선 충전 칩 등을 2025년 자체 설계 칩으로 대체하고 2024년 말이나 2025년 초 아이폰 등에 퀄컴의 셀룰러(휴대폰용) 모뎀 칩도 자체 칩으로 조달할 계획

브로드컴 반도체는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기능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며 퀄컴의 셀룰러 모뎀은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전화 통화나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 브로드컴은 그동안 애플에 연간 70억 달러(86,000억 원) 규모의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부품을 공급. 지난 회계연도 브로드컴 전체 수익의 20%에 달하는 규모


2-4.PNG

ㅇ 애플의 반도체 자립은 인텔퀄컴브로드컴와 같은 팹리스 기업의 시장 지배력을 약화시키고 TMSC 같은 파운드리 업체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 농후

- 애플의 자체 칩 탑재 소식 직후 브로드컴 주가는 2%, 퀄컴 주가는 0.6% 하락한 반면 애플은 0.4% 상승하며 시장 분위기 반영


ㅇ 애플은 꾸준한 M&A를 추진하며 반도체 설계역량 축적해 왔으며 반도체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

2008년 반도체 설계회사 팔로알토세미컨덕터, 2011년 플래시메모리 기업 아노비트, 2018년 전력반도체 전문업체 다이얼로그, 2019년 인텔 모뎀칩 사업부 등을 잇달아 인수하며 반도체설계 역량 축적



2-5.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