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2023년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1-11
  • 등록일 2023-02-17
  • 권호 232

세계경제포럼(WEF)‘2023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발표*(’23.1)

* The Global Risks Report 2023

** 매년 다보스포럼 전 각 분야 전문가 1,20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리스크 인식 조사(GRPS, Global Risks Perception Survey)’를 수행, 향후 10년 동안 세계가 직면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분석


단기(향후 2년 이내)*장기(향후 10년 이내)**의 글로벌 리스크 순위 공개

* 이미 전개되고 있는 위험 요소가 향후 2년에 걸쳐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것

** 새롭게 등장하거나 향후 10년 동안 빠르게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위험 요소

- (단기) 상위 10위 내에 생활비 위기1위이고 그 외에 환경 문제가 5로 가장 많이 대두

- (장기) 상위 10위 내에 기후변화 완화 실패1위이고 이를 포함한 환경 문제가 6개로 가장 많이 포함

- 향후 10년 내 생물 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 붕괴가 가장 빠르게 악화될 것으로 예상

- ‘지정학적 대립’, ‘사회결속력 약화 및 양극화를 비롯한 9개 리스크 요소가 단기와 장기 상위 순위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었으며, 이 중 사이버 범죄 및 사이버 불안 확산’, ‘대규모 비자발적 이주2023년 새롭게 포함


7-1.PNG

ㅇ 경제, 환경, 지정학, 사회, 기술 유형별로 다음의 리스크를 예상

- (경제) COVID-19 팬데믹 지속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인플레이션 폭등, 저성장 저투자와 같은 경기 침체, 국가 내국가 간 양극화

- (지정학) 지정학적 분열에 따른 지구경제적 전쟁 및 국가 간 다중 영역 분쟁

-(기술) 국가 간 기술 투자 규모 차이로 인한 불평등, 핵심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비롯한 사이버 보안 위협, 개인의 디지털 주권 및 프라이버시 약화

-(환경)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대비 미흡, 기후변화 영향,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의 문제 증폭

-(사회) 2023년 직면한 심각한 리스크로 에너지 공급 위기’, ’인플레이션 상승’, ‘식량 공급 위기생활비 위기관련 요소가 상위 순위로 선정, 식량, 연료 및 생활비 위기에 따른 사회 취약성 악화


7-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