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나노 경쟁, 日 라피더스 본격 참전하며 글로벌 경쟁 가열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니케이아시아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3-01-25
  • 등록일 2023-02-17
  • 권호 232

라피더스(Rapidus), 2나노 양산 목표 구체화


일본 주요기업 8*가 연합해 설립(’22.8)한 반도체 회사 라피더스가 2027년에는 2나노(1nm=10억 분의 1m) 공정 기반의 반도체 칩 생산 목표를 공식 선언

* 도요타자동차, 소니, 소프트뱅크, 키옥시아, 덴소, NTT, NEC, 미쓰비시UFJ 은행. 이들 8개사가 공동 출자(70억 엔)하고 정부가 약 700억 엔 이상 지원

- 2025년 상반기까지는 2나노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설비 라인을 만들고 2027년부터 2나노 이하 제품 양산에 나설 계획

- 현재 시장에서 가장 고도화된 미세 공정인 3나노가 아니라, 2나노 양산을 목표로 한 것은 한국대만 선도 업체와의 경쟁에 가세해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취지

- , 앞선 미세 공정 기술력이 곧 점유율 확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경쟁 기업보다 한 차원 높은 기술력을 입증해 단숨에 선도권으로 올라선다는 구상

-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이미 IBM과 첨단 반도체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22.12)하였으며 올 초 열린 양국 장관급(경제산업성 장관상무장관) 회동(1.5)에서도 이를 재차 확인

- IBM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 라이센스를 라피더스에 제공하고 라피더스는 IBM 기술을 기반으로 2나노 첨단 반도체를 양산할 계획

- 양사는 2나노 공정뿐만 아니라 IBM의 연구거점*에서 라피더스의 기술자전문인재 육성, 해외 판로 개척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 약속

* Albany NanoTech Complex:세계적 수준의 반도체 연구 및 프로토타입 생태계를 갖춘 연구단지. 반도체 연구를 위한 선도적인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신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끊임없이 진행


3-1.PNG

ㅇ 라피더스의 공격적인 목표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과 함께 향후 파운드리 시장 내 위협적인 경쟁자로 부상할 수 있다는 전망 등 다양

- (회의적인 분위기) 선도 업체인 삼성전자TSMC 모두 3나노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한계를 경험한 사례를 비추어 볼 때, 라피더스가 계획대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는 것

TSMC3나노 제품 양산 시점이 당초 목표보다 두 차례 지연되며 차질. 202212월 양산 돌입

- (경쟁자로 부상) 단기적으로는 삼성전자TSMC 등 선도 업계를 위협할만한 수준으로 성장하기에는 어려울 전망이나 장기적으로 성과를 창출 가능

- 일본 정부의 반도체 전략과 TSMC의 생산시설 유치 등 반도체 산업 육성과 재기를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전개되면서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평가


인텔, PC 중심에서 벗어나 모바일 시장에 대응하며 파운드리 영역 확장


ㅇ 파운드리 사업 재진출을 발표하면서 2023년 하반기에 3나노, 2024년 상반기 2나노, 2024년 하반기에 1.8나노 제품 양산을 목표로 선언

- 20213월 파운드리 재진입 선언 후 14개월 만에 퀄컴아마존미디어텍 등 대형 고객사를 점진적으로 확보해나가며 TSMC삼성전자 추격 고삐

- 켈러허(Kelleher) 부사장은 현재 7나노 공정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지만, 4나노 반도체 생산에 들어갈 준비가 돼 있으며 3나노 반도체도 2023년 하반기에는 생산할 수 있다고 강조

- 200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애리조나주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오하이오주에도 200억 달러를 들여 첨단 반도체 공장 2개를 건립 중

- 또한 20223월에는 향후 10년 간 유럽에 반도체 생산과 연구개발을 위해 800억 유로 투자를 결정하는 등 파운드리 사업을 공격적으로 전개


3나노 신호탄 쏜 삼성전자’, 대형 고객사 우위에 있는 ‘TSMC’ 경쟁 주목


파운드리 업계 2위인 삼성전자가 20226TSMC보다 앞서 3나노 공정 양산에 성공하면서 현재 파운드리 미세공정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


(삼성전자) 세계 최초(’22.6) 3나노 양산을 시작하면서 20252나노, 20271.4나노 공정을 도입한다는 로드맵 이행 중

- ‘20224분기 실적발표콘퍼런스콜(1.31)에서 세계 최초로 3나노 1세대 공정을 안정적인 수율로 양산하고 있다고 밝히며 3나노 2세대 파운드리 공정은 예정대로 2024년 양산한다고 언급


(TSMC) ’22.123나노 양산을 시작한 후 대만 신주과학단지 내에 2나노 팹을 6단계에 걸쳐 건설하여 2025년 양산에 돌입한다는 목표

- 2022년 하반기에 설비투자의 최대 80%2나노 공정에 투입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3나노 경쟁 뒤처진 기술력을 빠르게 회복하겠다는 복안


3-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