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생체인식 기술 및 글로벌 보안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의회조사국(CR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1-30
  • 등록일 2023-03-03
  • 권호 233

의회조사국(CRS)생체인식 기술 및 그와 관련된 글로벌 보안 이슈를 분석하는 보고서 발표*(’23.1.)

* Biometric Technologies and Global Security


ㅇ 생체인식 기술은 개인의 신원을 인식하기 위해 DNA, 지문, 심장 박동, 음성, 보행 패턴 등 고유한 생물학적행동적 속성을 사용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석의 발전으로 생체인식 기술의 응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의회의 감독, 시민의 자유, 보안 등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으로 예상

- 실제 생체인식 기술은 의회 승인하에 정부의 보안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


4-1.PNG


ㅇ 생체인식 기술은 미래 국방, 보안 등의 분야에서 많은 활용이 예상되며 그에 따라 국제 인도법* 준수, 개인 자유권 침해 등과 관련한 찬반 주장 제기

*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1) 자율살상무기(LAWS) 또는 사람의 수동 제어나 원격 조작 없이 표적을 선택하고 교전할 수 있는 무기 시스템에 통합될 가능성

- 기술 적용에 따라 표적의 정밀도를 높여 국제 인도법 준수(: 민간인 살상 방지) 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주장과 무기 고도화에 따른 비윤리성, 국제 인도법 위반 가능성에 대한 주장이 대립

- 현재는 생체인식 기술을 개발하거나 자율살상무기에 도입하는 것에 대한 금지 규정은 없으며, 중국이나 러시아의 무기 제조업체도 생체인식 기술이 포함된 시스템을 개발 중


(2) 지역 또는 국가데이터 수집 및 감시 네트워크에 통합될 가능성

- 중국은 국가 DNA 데이터베이스와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 및 얼굴 인식 기술이 적용된 광범위한 비디오 감시 네트워크를 유지 중이며 이는 의료, 여행, 구매내역과 같은 개인 정보와 지속적으로 연결 가능

- 생체인식 응용 프로그램이 치안 및 공공안전에 기여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검열과 사회통제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인권침해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존재


ㅇ 한편 생체인식 기술의 시스템 오류, 수행능력의 한계 등 시스템 취약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

- 반복적인 인공지능 얼굴 인식 프로그램 수행 시, 여성이나 유색인종 등 특정 대상에 대한 불규칙적인 인식 실패가 보고됨에 따라 잠재적인 시민 자유 침해, 국제 인도법 위반 등의 가능성이 있음

인공지능이 잘못된 학습을 하도록 하는 데이터 포이즈닝(data poisoning) 문제도 있음

- 위조 또는 도용 공격에 대한 취약성으로 테러리스트나 외국 정보 요원으로부터 생체인식 보안 시스템 교란 가능성 존재

안면인식 기술은 눈, , , 턱선 등 얼굴 특징의 위치를 인지하여 신원을 증명하는 방식으로 화장 등으로 식별대상의 특징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에 취약


ㅇ 최근 미국 의회는 생체인식, 특히 안면인식 기술을 고려한 입법 활동을 추진

- (2021 국방수권법*) 국가 인공지능위원회에 정부의 안면인식 사용에 윤리적 고려가 이루어지는지, 추가적인 감독통제제한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에 관해 대통령에게 조언하는 임무를 부여

* NDAA,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 (2020 국방수권법) 안면인식 기술의 차별적 사용은 미국의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미국 정부는 인권 탄압에 안면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에 안면 인식 기술을 판매하거나 이전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명시


보고서는 생체인식 기술의 잠재적인 이점과 시민의 자유, 국제 인도법 관련 요건들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하는지, 생체인식 데이터 수집 및 활용과 관련한 어떠한 제한이 필요한지 등에 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