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UNEP, 2022년 활동 결산 보고서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유엔환경계획(UNEP)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2-06
- 등록일 2023-03-03
- 권호 233
□ UNEP는 2022년 주요 성과 및 전략을 정리한 보고서(UNEP in 2022) 발표(’23.2)
ㅇ 제5회 유엔환경총회(UN Environment Assembly)에서는 175개 회원국들이 오염을 감소시키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며 자연을 보전하는 주요 해결책(landmark resolution)을 채택하도록 함
ㅇ 유엔기후변화컨퍼런스(UN Climate Change Conference)에서는 손실 및 피해기금(loss and damage fund)을 마련하였으며, 우루과이에서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에 대한 논의를 진행함
ㅇ 유엔총회(UN General Assembly)에서는 깨끗하고 건강하며 지속가능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보편적 권리를 확인하였고, 몬트리올 유엔 생물다양성 컨퍼런스에서는 2030년까지 목표 달성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함
□ 기후변화 적응 성과
ㅇ UNEP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추세로는 한 세기 안에 지구 온도가 2.4~2.6℃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1.5℃라는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기공급, 산업, 교통 및 건축업, 식량 및 재정 시스템에 있어 더 급진적인 해결책 도입이 필요함
* Emissions Gap Report 2022:The Closing Window
- UNEP는 ‘Adaptation Gap Report 2022:Too Little, Too Slow’를 통해 적응을 위한 계획 도입에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제공되고 있지 않음을 지적함
ㅇ 생태계 기반 적응을 위한 글로벌 펀드(Global EbA Fund) 구성
- UNEP과 국제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펀드로, 혁신적인 EbA 해결책에 대한 지원*을 제공함
* 현재 필리핀의 산호초 보호, 피지의 강기슭 복원을 통한 침식방지 등 총 23개의 1, 2차 지원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총 5,600만 달러를 지원함
ㅇ 기후행동에 대한 재정적 지원
- UNEP Finance Initiative가 운영하는 은행 연합*중 60개 이상이 그들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과학적으로 탈탄소화를 지향하도록 수정함
* 18개월 동안 120여 개가 넘는 은행이 참여하였고, 이는 글로벌 금융자산의 40%가 넘는 비율임
□ 자연 및 생물다양성 손실 방지 성과
ㅇ UN 생물다양성 컨퍼런스
- 생물다양성 감소 방지를 위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4개의 목표 및 23개 지표를 정의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구성
*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는 육지, 내수, 해안 및 해양의 최소 30% 이상 보존, 침식된 토양과 내수, 해안 및 해양 생태계의 최소 30% 복구, 생물다양성의 중요도가 높은 지역의 피해 최소화, 생물다양성에 피해를 주는 보조금의 취소 또는 조정 내용 포함
ㅇ 주요 생태계의 보호 및 복원
- UN 생태계복원 10년 계획: UNEP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2021년 UN 생태계복원 10년 계획을 수립, 2022년에는 처음으로 10개의 세계 복원 플래그십(World Restoration Flagships) 이니셔티브를 발표함
* 2022년은 UN의 지속 가능한 산림개발을 위한 해이며, UNEP은 이를 촉진하기 위한 동유럽 카르파티아 산맥 보호 조약(Carpathian Convention)을 통해 산림의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해 노력함
ㅇ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
- 1972년 스톡홀름 선언에서부터 이어진 UNEP의 노력 끝에 2022년 7월 UN총회는 깨끗하고, 건강하며,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접근을 인간의 권리 중 하나로 규정함
□ 화학물 및 오염 저감 성과
ㅇ 플라스틱 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
- UN 환경총회에서 회원국들은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오염을 줄일 필요성에 동의했으며, 정부간 협상위원회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항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ㅇ 공기 오염 개선을 위한 노력
- 라틴아메리카 및 캐리비안 지역에서는 공기 질 개선을 위한 지역 행동 계획수립을 지원하고, 아프리카 환경장관회의에서 쓰레기의 투기 및 연소 중단 약속 도출
ㅇ 유해 화학물질 및 위험 폐기물 처리
- 2022년 미나마타 협약(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의 범위가 수은뿐만 아니라 규제되지 않은 공급원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