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中, 블록체인 핵심 기술개발과 연구허브 조성 박차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블록체인월드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3-02-12
- 등록일 2023-03-03
- 권호 233
□ 국가블록체인연구센터를 출범하며 블록체인 산업 굴기 가속
ㅇ 중국 과학기술부는 블록체인과 관련된 핵심기술 연구를 위해 ‘국가블록체인기술혁신센터(国家区块链技术创新中心)’ 설립을 승인(2.8)
- 국가블록체인기술혁신센터는 베이징에 본부를 두고 베이징시 정부의 지원을 받는 베이징 블록체인・엣지 컴퓨팅 아카데미(BABEC)가 주도할 예정
- 블록체인 기술을 중국 디지털 인프라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해 국가 경제는 물론 개인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술 활용을 중점으로 연구・개발할 계획
- 블록체인 기초이론, 소프트웨어・하드웨어에 관한 블록체인 핵심 기술, 기초 플랫폼과 검증 네트워크 등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전개할 예정
-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탐구하기 위해 지역 대학・싱크탱크・블록체인 기업과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해 중국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블록체인 산업 확장을 도모할 방침
ㅇ 시진핑 국가주석이 공산당 정치국 중앙위원회 18차 집체학습(’19.10.24)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다 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한 이래 매년 3월 개최하는 양회에서도 핵심 주제로 논의하는 등 블록체인 산업 육성은 전략 과제
※ 암호법 제정(2019.10.26. 제13기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상무위원회),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 정식 운영(2020.4월), 디지털 위안화(DCEP) 시범 운영 등
□ ‘디지털자산거래플랫폼’도 출범하며 NFT 시장 육성
ㅇ 중국 정부는 자국 최초의 대체불가토큰(NFT) 거래를 위한 공인 마켓플레이스 ‘중국디지털자산거래플랫폼(中国数字资产交易平台)’ 출범(1.1)
- 중국디지털자산거래플랫폼 운영과 관리는 국영 기업인 중국문화유적교류센터가 담당
- 중국 정부는 플랫폼을 통해 NFT 시장의 과도한 투기를 방지하고 향후 디지털 상품 범주에 속하는 온라인 가상자산의 거래 활성화를 지원할 방침
- 플랫폼에서는 NFT 등 디지털 자산의 포괄적인 거래 시스템과 표준화된 거래를 공식화하고 안전하고 신뢰 있는 프로세스, 결제 구조, 관련 인프라를 통합
- NFT 대신 ‘디지털 수집품’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중국기술거래소*의 라이선스 아래에서 ‘디지털수집품’과 ‘지식재산권’, ‘디지털저작권’ 등을 거래
* 중국기술거래소는 중국 과학기술부, 국가지식재산국, 중국과학원, 베이징시 공동으로 설립한 국가지식재산권 및 과학기술성과재산권 거래기관
- 암호화폐 결제는 불가하며 디지털 자산의 △등록, △권리 확인, △저장, △권리 보호 모니터링, △저작권 보호 서비스 등을 제공
□ 한편, 글로벌 주요국도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정책 추진
ㅇ 미국・일본・EU・한국 등 글로벌 주요국은 블록체인 기술・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정책을 발표하고 서비스를 적용하는 등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 기반 확충을 적극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