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스마트 가전제품의 안전 및 위험요소 점검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제품안전표준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3-01
- 등록일 2023-03-31
- 권호 235
□ 제품안전표준청은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에 활용되는 스마트 가전이 소비자를 보호하는 형태로 활용되도록 잠재적 위험요소를 점검하기 위한 보고서 발표*(’23.3.)
* Safety of Smart Domestic Appliances:A review of the safety risks of timeshifting and internet connectivity
ㅇ 스마트하고 유연한 에너지 시스템은 저탄소 에너지 시스템을 위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연간 100억 파운드 이상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영국 정부는 스마트 에너지기술 활용을 위해서는 수요중심 대응(DSR)*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 과정에서의 소비자 참여를 장려
* DSR(Demand-Side Response):에너지 수요가 많아 금액이 비싼 낮 시간대의 사용량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량이 낮아 가격이 저렴한 밤에는 사용량을 늘리는 유연하고 스마트한 에너지 시스템을 의미
ㅇ 스마트 가전은 인터넷 연결로 타임 시프팅(time shifting, DSR의 한 형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해졌으며, 본 보고서는 이에 따른 위험과 대응책을 정리하고자 함
- 보고서는 특히 화재 위험에 중점을 두고 스마트 가전*의 위험 발생 가능 시나리오 탐색을 통해 선제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 조리기(오븐 등), 식기세척기,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ㅇ 스마트 가전은 관련 주체별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원격 작업 등에 따라 아래와 같은 여러 위험 발생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 (내재된 설계의 취약성) 스마트 기기 설계 자체의 취약성이 인터넷 연결을 통해 문제로 야기될 수 있으며, 기술의 성숙도에 따른 취약성도 존재
- (악의적이지 않은 원격 작업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 흠결이 있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로 인한 보안 및 안전의 문제를 의미
- (악의적인 원격 작업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 기기의 취약성을 이용해 피해를 입히기 위한 접근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 기기는 특정 서버와 연결되어 제어를 받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해커들의 타겟이 될 수 있음
- (사람의 부재 상황에서 기기가 작동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문제) 취침 또는 부재 시 발생한 화재는 더 큰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 조리기에서 발생한 화재는 가전기기 화재의 38%이나 사상자 발생률은 5%에 불과한 반면, 냉장고 등 거대 가전기기의 화재 발생은 5% 미만이지만 사상자 발생률은 33%
ㅇ 본 연구*는 가전제품의 타임 시프팅(time shifting) 작동이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화재 발생 가능성을 계산하는 모델링 실시
* 2030년까지 영국 가전 제품의 20%가 스마트 가전이 될 것이며, 80%의 시간 동안 스마트 모드(가령 time-shifting 등)로 작동할 것으로 가정
- 모델링 결과, 2030년에는 야간 타임 시프팅으로 인한 야간 화재가 약 6%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그 중 약 1.3%에서 사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 이러한 부분은 타임 시프팅 기술 설계 변화를 통해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ㅇ 인터넷에 연결된 전자제품은 홈 네트워크나 스마트폰의 취약한 앱 공격, 서버 해킹 등을 통해 공격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각적인 보호 노력 필요
- 스마트 가전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으로 인해 오히려 안전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제어를 위한 백업 매커니즘 구축 필요
- 안전 기능과 관련한 적절한 표준을 개발하고 규제를 고려하는 것 또한 안전 위험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