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이미지 인식 등 한층 고도화된 ‘GPT-4’…업계 도입 경쟁 활발 원문보기 1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Open A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3-14
  • 등록일 2023-03-31
  • 권호 235

인간 수준의 AI 개발 노력의 이정표 ‘GPT-4’


ㅇ 오픈AI는 챗GPT(GPT-3.5) 출시 불과 4개월 만에 후속 버전인 GPT-4를 공개

- GPT가 신드롬을 일으킨 가운데 새로운 버전 GPT-4까지 진일보

- GPT-4는 인식과 추론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이미지도 인식할 수 있는 멀티모달 AI로 그림을 입력하고 그림 내용을 바탕으로 대화와 해석 가능

- 기본적으로 글 요약 능력은 우수하며 문장 답변 능력에 더해 상세한 영상 설명, 농담을 만들어 내는 유머 감각 등 새로운 기능으로 차별화


1-1.PNG


1-2.PNG

- 아직 한국어 품질은 완벽하지 않지만 기존 GPT-3.5 버전을 능가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며 한국어뿐 아니라 상당수의 다른 국가 언어들도 GPT 3.5의 영어 수준을 능가

- GPT-4 테크니컬 리포트(GPT-4 Technical Report)에 따르면 각 언어별 평가 점수에서 한국어(77%)는 하위권이지만 GPT-3.5의 영어 성능(70.1%)을 추월


1-3.PNG


오픈AI 측은 교육 기술 기업 듀오링고’, ‘칸아카데미와 핀테크 스타트업 스트라이프등 다수의 기업국가와 파트너십을 맺고 GPT-4를 적용


1-4.PNG


ㅇ 한편 전문가들은 여전히 윤리문제, 사회적 편견, 환각(Hallucination), 악의적인 프롬프트에 대해 한계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기존 챗GPT 대비 입력값의 다양화(음성, 이미지 등) 및 성능 향상이 있으나, 미흡한 추론 및 부정확한(최신 정보 결여) 답변 생성

- GPT-420219월까지의 데이터를 학습했기 때문에 그 이후 사실관계 변화는 알지 못한다고 밝히며 추론의 오류를 범하거나 사용자의 명백한 거짓 진술을 쉽게 받아들이는 것도 한계


ㅇ 오픈AI는 챗GPT플러스 고객에게 GPT-4를 우선 공개했는데 폭발적인 인기로 서버 과열 등 문제가 발생하면서 현재 GPT-4에 질문을 3시간 당 25개로 제한


GPT-4 시대 맞이한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구글경쟁 속도전


(마이크로소프트) 2019, 2021년 오픈AI에 투자하고 2023년 검색엔진 (Bing)’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에 챗GPT 탑재에 이어 오피스제품군(워드엑셀 등)GPT-4 접목을 발표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확대

- 3.16(현지 시간) ‘AI와 함께하는 일의 미래(Future of Work with AI)’ 행사를 개최해 워드엑셀PPT아웃룩팀스 등 MS 365 애플리케이션에 GPT-4 기반의 코파일럿(Copilot) 기술을 적용한다고 발표

- 코파일럿은 이름 그대로 부조종사처럼 MS 365에서 제공하는 사무용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보다 간편하게 지원하는 AI 기술을 일컫는 말


1-5.PNG

- 코파일럿은 챗GPT와 유사하게 간단한 명령어 입력만으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강점으로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팀즈 등 널리 쓰이는 생산성 소프트웨어에 챗GPT와 같은 AI 비서를 접목한 셈

- MS는 코파일럿을 자연어 명령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팀스 등 오피스 앱에 내장하거나, 기업 사용자를 위한 비즈니스 챗형태로 제공

- 워드를 사용할 때 글을 작성, 편집, 요약하고 창작할 수 있어 사용자는 글을 쓰고 편집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코파일럿이 초안을 수정, 재작성 하도록 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역할도 가능

- MS는 코파일럿의 일부 기능을 시연했는데 이용자가 이 문서를 10장짜리 파워포인트 자료로 만들어줘라고 입력하자 수초 만에 PPT 파일을 생성하고, 엑셀에서 데이터를 분석해 시각화된 자료를 생성하거나 워드를 이용해 비즈니스 제안서를 작성

- 정확한 코파일럿 도입 시기와 가격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몇 달 안에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대기업 8곳을 포함해 20곳의 기업과 코파일럿을 테스트 중이라고 설명

- 사티아 나델라(CEO)컴퓨팅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었으며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생산성 증대의 새 물결을 일으킬 것이라며 기대감 표명

- 한편 오픈AI의 그림 생성형 AI달리(DALL-E)’를 검색엔진인 빙에 적용한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Bing Image Creator)’를 출시(3.21)하는 등 자사 서비스에 속속 도입


(구글) 워크스페이스(Workspace) 생산성 제품군에 챗GPT와 유사한 생성형 AI (Generative AI)를 통합하는 전면적인 업그레이드 발표(3.14)

오픈 AIGPT-4 공개 당일이자, 마이크로소프트의 챗GPT 기반 오피스 제품군 발표에 앞서 전략을 선보인 것은 AI 시장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도로 해석

- 생성 AI가 통합된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지메일에서 이메일 초안 작성, 독스에서 문서 작성 및 수정지원, 스프레드시트에서 수식생성 및 수식자동완성, 상황별 분류, 미트에서 배경 생성 및 노트 캡처, 슬라이드에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생성, 에서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워크플로우 활성화 등 기능 제공

- 이어 AI챗봇 바드(Bard)의 오류를 개선하고 보완하여 미국영국 일부 이용자 대상으로 출시(3.21)


(바이두) 3.16일 미국 오픈AI GPT 대항마 어니봇(Ernie Bot, 원신이옌)’ 공개행사(Baidu ERNIE Bot Press Conference)를 열고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

바이두는 어니봇 어니는 바이두의 오픈소스 딥러닝 플랫폼인 패들패들(PaddlePaddle)에서 개발하였으며 지식 통합을 통한 향상된 표현을 의미

- 이번에 발표한 어니봇은 2021년 더욱 진화된 어니3.0(ERNIE 3.0)’을 기반으로 언어 이해, 언어 생성, 텍스트-이미지 생성 등 작업 수행, 특히 중국어 방언 등 이해력이 높은 것이 특징

- 어니봇을 검색과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등 주요 사업과 결합할 계획이며, 자동차 제조사와 뉴스사이트 등 제휴사들도 어니봇을 자사 비즈니스에 활용 구상

- 앞서 2월 중국 규제 당국은 이미 자국 기술 기업에게 AI 챗봇을 대중에게 공개하지 말 것을 요청한바, ‘어니봇서비스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전망

- 또한 어니봇 공개행사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을 선보이는 것이 아닌 사전녹화된 시연을 공개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면서 주가는 10% 이상 하락


국내 대기업스타트업도 경쟁 가세


국내 업계는 챗GPT 열풍과 함께 한국어에 특화된 서비스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 이번 GPT-4의 한국어 성능이 진일보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 예상

- 네이버는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7, 카카오는 390억 개 매개변수를 학습한 (Ko)GPT-3.5’를 금년 상반기 공개 예정

- SKT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이닷(A.)’에 장기기억 기술을 도입하고 멀티모달 서비스 등 본격적인 서비스 고도화에 착수


GPT-4 공개 이후 카카오가 다다음(ddmm)’이라는 한국형 AI 챗봇 서비스를 베타 버전으로 출시(3.19)해 주목받았으나, 아직 추가 개선은 필요

- 다다음 서비스는 이용자의 다양한 질문과 요청을 AI 기술기반으로 답변해 주는 생성 AI 서비스로 GPT 기반의 인공지능 생성 대화, 검색 결과를 활용한 자료 조사, 그려줘라는 말을 통해 텍스트 투 이미지(Text to image) 생성하는 것 등 가능

- 카카오는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한 답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답변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는 보장하지 않으며 일부 부적절한 표현도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

- 정확한 완성도와 품질을 갖추기까지 시간은 조금 더 필요한 것으로 예상


ㅇ 그 외 다수의 스타트업들이 챗GPTGPT-4를 자사의 기존 서비스에 연동해 다양한 AI 서비스 제공


1-6.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