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넷제로 사회 시나리오 보고서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과학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4-06
  • 등록일 2023-04-28
  • 권호 237

□ 영국 정부는 넷제로 전략 일환으로 넷제로 사회 시나리오 보고서 발표*(’23.4.)

* Net Zero Society:scenarios and pathways


ㅇ 영국의 독립기관인 기후변화위원회(CCC)는 영국의 넷제로 달성이 연간 GDP의 약 1~2%의 비용으로 가능할 것으로 분석


ㅇ 주요 에너지 수요량이나 소비 패턴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에 해당 보고서는 시나리오 기법 적용을 통해 이를 탐색해보고자 함


ㅇ 주요방법론으로 최근의 사회 동향 리뷰, 사회 변화 증거 리뷰*, 시나리오 내러티브 개발**,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 공공 담론 파악 등을 활용

* 소비자, 시장, 정부 주도 등 다양한 카테고리와 시간대를 포괄하는 과거 사회변화의 증거에 대한 리뷰를 수행하고 시나리오 내러티브에 참고

** 사회변화 방향에 대한 사고를 확장하기 위해 정부, 기업, 학계 등 이해관계자와 워크숍을 수행


ㅇ 시나리오 개발을 위해 주요동인 파악, 주요동인 맵핑, 내러티브 구체화,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을 추진

- 첫 번째 단계에서는 여러 사회변화 동인 중 경제성장, 환경에 대한 인식, 인구학적 요소가 넷제로와 연관된 주요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세 요인은 복잡한 역학을 통해 (구축된) 환경, 이동과 교통, 노동과 산업, 그리고 식량과 토지 사용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 두 번째 단계에서 중요도 및 불확실성에 따라 주요 동인을 맵핑하였으며, 이후 제도적 신뢰와 사회적 결속*, 경제성장과 기술변화** 두 축으로 맵핑

* 사회적 결속, 양극화, 사람 간 신뢰, 고립, 도시화, 탈중앙화 등의 주제 포함

** 기술발전, 도시화, 건강, 에너지 수요와 온실가스 배출 등의 주제 포함


7-01.PNG

- 세 번째 단계에는 다음의 주요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으며, 시나리오 내러티브(narraitve)를 구체화

1) 2050년의 사회는 어떻게 생활하고, 일하고, 놀고, 소비할 것인가?

2) 각 시나리오는 환경, 이동 및 교통, 노동 및 산업, 식량 및 토지 사용 분야의 에너지와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에 있어 어떻게 다를 것인가?

3) 현재와 2050년 시나리오 사이의 그럴듯한 타임라인은 무엇이 있는가? 시나리오 상의 사회가 달성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 네 번째 단계는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으로, 에너지 수요 솔루션연구센터(CREDS)의 연구자들이 모델링함


□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 1) 원자화 사회(atomized society), 2) 자기보호 사회(self-preservation society), 3) 대도시 사회(metropolitan society), 그리고 4) 저속차선 사회(slow lane society) 도출


ㅇ (S1) 원자화 사회

- 기술변화가 성장을 주도하고 개인의 자유가 우선시되며, 기술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중시하는 사회임. 하지만, 사회적 격차 발생으로 부유층이 안전한 보호를 받는 대신 빈곤층은 기후변화의 영향 하에 있음

 

 (S2) 자기보호 사회

- 경제성장과 기술발전이 기대치보다 낮아 전통적인 수단과 오래된 기술로 문제에 대응해야 하는 사회로서, 사회는 서로 다른 집단으로 파편화되고, 노년 및 지역 등 일부 집단은 느린 속도의 변화에 나름 만족


ㅇ (S3) 대도시 사회

- 불평등은 남아있지만 경제성장 및 기술발전으로 모두에게 이득이 발생한 사회로서, 도시 중심의 강력한 사회가 구축되어 성장을 주도하고, 지역 사회는 제한된 예산이 도시에 집중되는 현상에 대해 분노를 느낌


ㅇ (S4) 저속차선 사회

- 경제 및 기술성장의 속도가 느려 새로운 기술이나 인프라에 투자할 비용이 제한된 사회지만, 제도적 신뢰와 사회적 결속을 바탕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고자 함


7-02.PNG

ㅇ 넷제로 달성에의 함의

- 시나리오에 따라 최종 에너지 사용량 감소폭에는 차이가 있으나, 모든 모델링에서 에너지 감소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GDP 대비 에너지 시스템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시나리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에너지 사용량 감소는 (S4)저속차선 사회 > (S2)자기보호 사회 > (S3)대도시 사회 > (S1)원자화 사회 순이었으며, 에너지 비용의 경우, (S2)자기보호 사회 > (S4)저속차선 사회 > (S1)원자화 사회 > (S3)대도시 사회(2050년 기준) 순으로 나타남


7-0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