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IoT를 위한 사이버 보안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맥킨지앤컴퍼니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4-07
- 등록일 2023-04-28
- 권호 237
□ 맥킨지앤컴퍼니는 전 세계 기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IoT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IoT를 위한 사이버 보안 보고서’ 발표*(’23.4.)
* Cybersecurity for the IoT:How trust can unlock value
ㅇ 본 연구는 사이버보안 위험에 대한 우려가 IoT의 성장 및 적용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 이를 검증하여 IoT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ㅇ 모든 분야의 IoT 솔루션 공급업체 및 구매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IoT 도입의 주요 장애 요인을 ‘사이버 보안’(32%)과 ‘상호 운용성’(26%)으로 응답
- ‘사이버 보안’을 선택한 응답자의 약 40%는 사이버 보안 문제가 해결될 경우, IoT 예산 및 배포를 25% 이상 늘릴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
ㅇ 2025년 IoT 공급시장 규모는 약 3,000억 달러(약 398조 원)로 추산되며, 2020~2025년 연평균 8%, 2025~2030년 연평균 11% 성장할 것으로 예측
- 2030년 IoT 총 가용시장(Total Addressable Market)은 약 5,000억 달러로 예상되며, 사이버 보안이 향상될 경우, 약 20~40% 증가한 6,250억~7,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 제조 및 산업, 모빌리티 및 운송,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등 사이버 보안 위험이 높은 분야일수록 사이버 보안 향상에 따른 추가적인 IoT 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IoT 구매자와 공급자는 디지털 신뢰 및 개인정보 보호 우려 등에 대하여 견해 차이를 보이며, 이는 구매자가 필요로 하는 시스템 설계와 연계될 수 있음
- IoT 구매자의 61%가 디지털 신뢰를 구매 결정의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응답하였으나, 공급업체는 31%만이 디지털 신뢰를 시스템 설계에서 중요 요소로 파악
- IoT 구매자의 61%가 개인정보 보호를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는 반면, 공급업체는 47%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인식
- IoT 공급업체는 IoT와 사이버 보안 리더 간의 단절(silo)된 의사결정이 IoT 도입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81%)으로 파악
ㅇ 기본적인 사이버 보안 기능(무단 액세스 방지 등) 외에 각 분야별로 요구되는 사이버 보안 기능에 차이가 있음
- 각 산업 분야별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측면에서 IoT와 사이버 보안의 융합을 위한 혁신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