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사이언스 맵 2020(’15~’20년 논문 대상)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3-03-28
- 등록일 2023-04-28
- 권호 237
□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는 논문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분야를 조감한 「사이언스 맵 2020」을 발표*(’23.3.)
* サイエンスマップ2020 ―論文データベース分析(2015-2020 年)による 注目される研究領域の動向調査―
ㅇ 사어언스 맵은 ① 논문의 그룹화를 통한 연구 분야 분류, ② 맵핑을 통한 연구 분야 시각화, ③ 연구 분야별 키워드 추출의 세 단계를 통해 작성
□ 사이언스 맵 2020 개요
ㅇ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 동안 발행된 논문 중 매년 각 분야*에서 피인용 수가 상위 1%인 논문(약 10.1만 건)을 대상으로 분석
* 임상의학, 식물・동물학, 화학, 물리학 등 22개 분야
ㅇ 상위 1% 논문에 대하여 「동시 인용」을 이용한 그룹화를 2단계(논문→연구동향→연구 분야) 실시하여 919개 분야 추출
□ 사이언스 맵 2020(’15~’20)을 통해 도출된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음
□ 「사이언스맵 2020」(’15~’20)의 특징
ㅇ 사이언스 맵 2020에서는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연구영역은 919개 영역으로, 사이언스 맵 2002(598개 영역)과 비교 시, 해당 연구영역 수는 54% 증가
ㅇ 연구영역 수의 증가는 세계적으로 논문 수의 증가, 중국 등 새로운 플레이어의 참여에 의한 연구커뮤니티의 확대, 새로운 연구영역의 출현, 기존 연구영역의 분열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
ㅇ 2019년 12월 중국에서 첫 감염사례가 보고된 코로나19는 2020년만 포함하나, 코로나19와 관련된 연구영역이 다수 보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연구 활동이 활발하였음을 시사
□ Sci-GEO 차트를 통해 살펴본 세계의 연구활동 동향
ㅇ 연구영역을 연속성(시간 축)과 다른 연구영역과의 관여 강도(공간 축)에 따라 4가지로 분류
- 과거 맵과의 연속성이 있는 경우, 다른 연구 영역과의 관여가 강한 △‘콘티넨트형(대륙) 영역’, 다른 연구 영역과의 관계가 약한 △‘아일랜드형 영역’으로 분류
- 과거 맵과의 연속성이 없는 경우, 다른 연구영역과의 관여가 강한 △‘페닌슐라형(반도) 영역’, 다른 연구영역과의 관여가 약한 △‘스몰 아일랜드형 영역’으로 분류
ㅇ 사이언스맵 2020에서 얻어진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919개 영역 중 스몰 아일랜드형 영역은 전체의 36%, 콘티넨트형(대륙) 영역은 19%를 차지
- 스몰 아일랜드형 영역의 수가 많다는 점에서 연구의 다양성을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