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차세대 배터리 개발 경쟁 미국・일본 제치고 선두 질주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포스코뉴스룸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3-01-04
  • 등록일 2023-04-28
  • 권호 237

□ 미래 에너지 흐름을 좌우할 포스트-리튬이온 배터리주목


ㅇ 리튬 이온 배터리는 현재 시장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이차전지 가운데, 전지 성능이 우수한 편에 속하지만, 전기자동차용 전원으로써는 배터리 성능, 가격, 안전성 및 신뢰성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기술적 이슈가 산적

- 배터리 성능 측면에서 1회 충전에서 가능한 주행 거리와 충전 시간은 기존 내연 기관 자동차에서 소비자가 기대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리튬 이온 배터리의 가격과 안전성신뢰성 역시 전기차 시장 확대 및 차세대 전기차의 요구 성능을 맞추기 위해서는 기술적 혁신이 필요한 상황

- 이러한 전기차용 구동 전원이 갖는 기술적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존 리튬 이온 배터리의 기술적 진보와 함께,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한계를 넘어 근원적 혁신이 가능한 포스트-리튬 이온 배터리(Post Lithium-ion Battery)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


6-01.PNG

□ , ‘포스트-리튬이온 배터리전체 유효 특허 중 절반 이상 차지하며, 선도


ㅇ 일본경제신문이 미쓰이물산 전략연구소에 배터리 관련 조사를 의뢰한 결과 202212월 기준 포스트-리튬이온 관련 유효 특허는 총 9,862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이 가운데 중국이 5,486건으로 전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4.4.)


6-02.PNG

- 중국에 이어 일본(1,192)과 미국(719), 한국(595), 프랑스(128)

- 기업기관별로 꼽은 상위 10곳 중엔 중국과학원과 배터리 업체 CATL 등 중국 소속만 7곳에 달함

- 특허 건수 질적 평가(다른 특허에 인용된 횟수 등 포함)를 더한 종합지수에서도 중국은 4,930점을 받아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미국과 일본은 각각 2,630점과 2,260점을 획득

- 중국은 리튬이온 배터리 후속 배터리로 가장 유력한 나트륨이온 배터리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미국은 마그네슘이온 배터리 분야에서 일본은 불소를 핵심 소재로 쓰는 불화물이온 배터리에서 앞서고 있다고 평가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싸고 안전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용량은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작지만, 비용은 기존의 60~70% 수준에 머물 것으로 추정. 또한, 배터리에 필요한 원자재인 나트륨이 리튬이나 코발트보다 풍부


□ 한편, 중국 정부가 재생에너지 이용 촉진을 위한 기술 개발 차원에서 나트륨이온 배터리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CATL은 연내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양산하여 전기차에 공급할 계획


ㅇ 한국은 업계 최초 리튬에어 배터리연구개발에 나서며 미래 경쟁력 확보 노력


ㅇ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를 잇는 차세대 배터리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리튬에어(Li-Air)’ 배터리 연구개발 착수(2.6.)

- 리튬에어 배터리는 배터리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과 산화물의 결합분해를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출력효율 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

- 아직 리튬에어 배터리는 연구 초기과정을 거치고 있기 때문에, 소형중대형 등으로 제품화하기까지 각종 난제가 산적해 있지만, 리튬황아연에어(Zinc-Air) 등과 함께 포스트 전고체후보 중 하나

- 리튬황은 국내외 주요 배터리 회사들이 차세대 전고체로 키우기 위해 공통적으로 연구해 왔지만, 리튬에어 분야에 도전장을 낸 곳은 삼성SDI 뿐임

차세대 배터리 연구가 가장 활발하다고 알려진 파나소닉도 전고체리튬황에 이어, 아연에어에만 집중

- 미국 보스턴의 삼성SDI 연구소 SDIRA(SDI R&D America)는 리튬에어 배터리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인력 충원에 나서는 등 기술 확보 노력하고 있는 상황


□ 한편, IRA 시행으로 한국 주요 배터리 업계는 공급망 확대할 수 있는 기회 확보


ㅇ 우리나라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지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 지침 발표로, 한국 배터리 3(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가 중국 경쟁업체보다 앞서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


6-03.PNG

-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면서 전기차와 배터리 수요 확대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배터리 부품소재에 대해 중국 업체의 미국 시장 진입을 제한하면서 한국 기업에 호재로 작용

- 북미로 생산 조건이 한정될 경우, 배터리 업계의 비용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두 소재의 광물 지위가 유지되면서 현재의 생산 공정을 바꾸지 않아도 세액공제 혜택 가능

- 또한, 배터리 핵심광물의 조달국 범위에 인도네시아와 아르헨티나가 제외됐지만,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가공할 경우, 해당 국가의 광물로 인정하는 조항이 유지되면서 한국 기업의 수혜 예상

- 미국과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서 광물을 채굴하더라도 한국(FTA 체결국)에서 50% 이상의 가치를 더해 가공할 경우, 해당 국가의 광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면서, 한국 업체들이 지금처럼 니켈리튬 등을 인도네시아와 아르헨티나에서 가져와 한국에서 가공하면 보조금 혜택 가능

- 미국 정부의 IRA 시행으로 GM, 포드, 루시드모터스 등 다수의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LG에너지솔루션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배터리 수요는 확대될 전망

- 미국 내 배터리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있는 삼성 SDISK온도 공급처를 다변화하여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ㅇ 아울러, 우리 정부가 IRA 시행으로 북미시장 진출 확대가 기대되는 국내 배터리 기업에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가 향후 5년간 7조 원의 대출보증을 지원한다고 발표(4.7.)

- 수출입은행은 대출한도를 최대 10%포인트 확대하고, 대출금리를 최대 1.0%포인트 감면해 줄 예정

- 무역보험공사는 보험료를 최대 20% 할인하고, 보증한도도 총 사업비 기준으로 최대 20%포인트 확대

- 또한, 새로운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배터리 기업을 위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개발도 지원하며 올해부터 500억 원 규모 이상의 LFP 배터리 관련 신규 과제를 추진할 방침

- 국가첨단전략기술 보유기업이 산업단지 안에 투자할 경우 법정 용적률을 1.4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상반기 중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해 전력폐수처리시설 등 인프라 구축도 지원할 예정

- 특히, 배터리 3사는 앞으로 5년간 16,000억 원을 차세대 배터리에 투자할 것을 밝힌바, 첨단 기술이 적용된 마더 팩토리도 국내에 조성할 계획

- 정부도 1,500억 원 규모의 차세대 배터리 R&D 예타를 통해 첨단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에 나서면서 우리나라의 차세대 배터리 경쟁력 확보 기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