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양자 미래 산업 창출 전략(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부(CAO)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4-14
  • 등록일 2023-05-12
  • 권호 238

□ 내각부 통합혁신전략추진회의에서는 양자기술의 실용화산업화를 목표로 양자기술의 실용화산업화를 위한 방침 및 실행계획에 대한 전략을 발표(’23.4.)


□ 양자기술의 실용화산업화 추진을 위한 3가지 관점


(1) 협력(Collaboration)


ㅇ 다양한 수요기업*들의 참여와 상호 간 협력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이 필수적

* 소재, 화학, 금융, 건강의료, 제조, 물류교통, 환경, 농업, 에너지, 지역개발, 방위, AI, 정보통신 등


ㅇ 양자컴퓨터 등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양자기술 분야뿐 아니라 기존 형태의 소재부품장비, 일렉트로닉스, 반도체 등의 기업 참여가 요구됨


ㅇ 다양한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수요기업의 킬러 애플리케이션 창출 지원 및 참여 시스템 구축이 필요


(2) 접근성(Accessibility)


ㅇ 다양한 분야의 수요기업이 양자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양자컴퓨터, 양자센싱, 양자보안네트워크 등과 같은 환경을 정비할 필요


ㅇ 양자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기술, 교육 등을 지원할 필요


(3) 인큐베이션(Incubation)


ㅇ 양자산업과 같은 신흥시장에서는 스타트업, 벤처기업 등이 중요한 플레이어로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스타트업들의 창업지원과 동시에 미래의 벤처기업들의 생태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


ㅇ 기존 기업의 신사업 부문 추진 또는 카브아웃(carve out)* 방식의 기업공개 등을 통한 스타트업/벤처기업 육성도 중요

* 경영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기업의 비핵심 자산이나 비주력 부문을 따라 나눌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일종의 기업공개(IPO) 방식 중 하나


□ 산업 측면에서의 주요과제


(1) 양자기술의 우수 활용사례 부족


ㅇ 수요기업 입장에서는 양자기술이 기존 기술 대비 성능, 비용, 편의성 등의 면에서 어느 정도 편익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은 있으나, 기술 우위성에 대한 활용 사례 및 사업화를 위한 판단근거 정보가 부족한 상황


(2) 양자기술에 대한 높은 기술적 장벽


ㅇ 다양한 수요기업의 참여가 요구되나, 양자기술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시설 및 양자기술에 대한 고도의 지식과 인력이 부족하며, 기존 기업 중 적용가능한 참여 분야 그리고 시장성 등에 관한 정보도 부족


(3) 미래 기술 시장의 불투명성 및 높은 사업리스크


ㅇ 현시점에서는 기술산업의 성공가능성이 불투명하여 기술시장의 전망을 수립하기 어렵고, 장기투자가 요구됨에 따라 타 사업에 비해 사업리스크가 높음


(4) 스타트업/벤처기업신사업 창출성장 여건 미흡


ㅇ 장기적 투자, 기술개발, 시장개척 등을 필요로 하는 양자기술 분야의 비즈니스에서는 VC,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어려운 자본력이 부족한 스타트업 등의 경우, 민간만의 시장 메커니즘으로는 위험도가 크고, 비즈니스 기회 창출 기회가 적음


(5) 산업인력 부족


ㅇ 전 세계적으로 양자기술 분야의 산업인력 부족 및 인재획득 경쟁 심화


□ 대응방향


(1) 양자컴퓨터(소프트웨어, 이용 환경 정비 등)


ㅇ 수요기업 관점에서 양자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성능효과지표(성능, 비용, 편의성, 저탄소화 등)를 검토하여 경영자투자자가 해당 지표를 경영투자에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시스템을 구축 지원


ㅇ 수요자가 양자고전 하이브리드 컴퓨터 환경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소프트웨어나 사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 육성진흥 추진


(2) 양자컴퓨터(하드웨어, 기반기술 등)


ㅇ 게이트 기술방식 기반의 양자컴퓨터는 초전도형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촉진하고, 운용 경험 및 노하우 축적, 인재육성뿐만 아니라 운용 등의 결과를 하드웨어 개발에 피드백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을 구축


ㅇ 양자 어닐링(Quantum Annealing) 머신의 경우, 성능 면에서의 정량적 우위성을 명확히 하고, 실제 사용되는 컴퓨터 환경으로 활용함으로써 산업적 활용 경쟁 우위성 제고


ㅇ 공급망 구축을 위한 국제협력 및 양자컴퓨터 시스템 관련 장치, 소재부품 중소기업 참여 촉진을 통한 핵심 기술확보 및 고도화 추진


(3) 양자보안네트워크


ㅇ 국내외 사용자 발굴확대를 위한 (appeal power) 활용 사례 창출 또는 공공기관이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로서 활용 촉진


ㅇ 일본 벤더기업의 민관협력을 통한 해외 진출 지원 및 양자암호 통신기기의 인증 기반 구축 추진


ㅇ 양자고전 하이브리드 컴퓨팅에 의한 종합적 아키텍처 구축 및 양자암호통신 광역 테스트베드의 내실화 도모


(4) 양자센싱양자소재


ㅇ 양자센싱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양자센싱기술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제공, 기술개발 사업화 지원 및 산관 컨소시엄 등 구축을 통한 정보 공유의견교환


ㅇ 많은 기업들이 양자 센싱을 쉽게 이용개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기술을 지원


ㅇ 사용자에게 매력적인(appeal power) 활용사례 창출 및 사업화 지원, 산학관 협력을 통한 공급망 지원체계 구축


(5) 이노베이션 기반


ㅇ , , 스타트업 등 협력을 통한 양자 산업의 글로벌 제휴협력 추진


ㅇ 금융기관 등 매칭, 청년 창업 인재육성 등을 통한 스타트업/벤처기업신사업 창출 기반 정비


ㅇ 재료,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통신, AI 등 산업 인재 및 경영지적재산 등 비즈니스 인재 육성확보


ㅇ 정보공유, 교환, 제휴를 추진하기 위한 산관의 새로운 파트너십 체제 구축


ㅇ 관의 공동 대응을 통한 기술 표준화지식재산 추진 및 양자기술 우위성을 포함하는 효과성능지표에 대한 벤치마크 지표 검토


ㅇ 핵심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맵 검토 및 공통 장비 등 산업 생태계 구축 등을 통한 전략적 공급망 구축


ㅇ 주력 플랫폼 기술 검토 및 산관 협력을 통한 협력영역과 경쟁영역별 구분에 따른 산업지원 체계 구축


ㅇ 양자기술 이노베이션 거점 강화 등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