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스타트업 생태계와 대학에 관한 보고서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23-04-21
  • 등록일 2023-05-12
  • 권호 238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대학 관점에서의 주요국가별 스타트업 지원 전략 및 정부 정책 동향 등을 정리하여 발간(’23.4.)


ㅇ 본 보고서에서는 대학발 벤처, 스타트업에 대한 공통된 정의가 부재함에 따라 연구성과 벤처*, 학생 벤처**를 통칭하여 스타트업이라 함

* 스핀아웃(또는 스핀오프)으로도 불리우며, 대학으로부터 지식재산 라이선스를 받고 있거나 대학이 대가로 주식을 소유하는 것으로 정의되기도 함

** 대학에서의 연구성과에 근거하지 않는 것으로, 일반적 스타트업 또는 비즈니스 스타트업이라 정의되기도 함


ㅇ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창업에 한정된 개념이 아니라 신사업을 창조하고 리스크에 도전하는 소양자세이며, 타인과 협력하면서 신사업이나 프로젝트를 실현하거나 사회문제를 비즈니스의 접근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


□ 대학 관점에서의 주요국별 스타트업 지원 현황


(1) 미국


6-01-1.PNG6-01-2.PNG


(2) 영국

 

6-02-1.PNG6-02-2.PNG

(3) 독일

 

6-03-01.PNG6-03-02.PNG

(4) EU

 

6-04.PNG

(5) 중국


6-05.PNG

□ 정책적 시사점


ㅇ 스타트업 생태계의 핵심(정신문화, 지식) 및 혁신적 과학기술의 시드(Seeds)는 주로 대학으로부터 창출

- 미국을 비롯한 영국과 독일의 일부 대학은 대학의 자율적 의사 아래 대학 내에서 포괄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창업 생태계를 발전시켜옴


ㅇ 국가적으로 스타트업의 지속적 생태계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창업가 교육에서 연구개발, 혁신까지 연결하는 창업가 생태계 플랫폼 구축이 필요

- 대학의 창업가 인재육성 관련 대응에서 대학에 의한 자율적 창업지원 프로그램 강화(액셀러레이터대학 관계 VC)를 중심으로, 정부의 전략정책프로그램(연구개발인재육성 펀딩), 대학 스타트업에 대한 출자(민관펀드 등)까지 이어가는 시스템 구축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