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EU, 코로나19로 인한 양성평등 이슈와 해결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연합집행위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3-05-05
- 등록일 2023-06-09
- 권호 240
□ 유럽연합집행위원회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연구혁신 활동 내 양성평등 실현에 끼친 영향을 조사하고, 부정적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23.5.)
* COVID-19 impact on gender equality in research and innovation
ㅇ 연구혁신 활동은 도전적인 과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 해결책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코로나19는 핵심 연구 인력에 다양한 영향을 끼침
- 유럽 연구자들은 사회적 고립, 네트워킹 감소, 업무와 개인 생활의 혼재 등으로 양성평등과 다양성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을 받았음
ㅇ 피인용 지수와 같은 정량 지표에 따른 예산 차등 지원은 연구경력 개발이 용이한 그룹과 그렇지 못한 그룹을 뚜렷하게 구분
- 향후 이러한 불평등이 개인에게 동일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럽연구공간(ERA)에서 양성평등, 포용성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조치 필요
ㅇ 전반적으로 여성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으나, 유럽 연구혁신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구조적 장벽으로 경력 최고 단계에서는 여전히 성별 불균형이 존재
- 보건, 복지, 교육 분야는 대졸 여성(60%), 박사학위 취득 여성(67%)의 비중이 높고, 이공계는 박사학위 취득 여성이 건설(29%), ICT(22%)에서 비중이 낮음
- 정교수나 그에 상응하는 직급에서 여성의 비중은 26% 내외로 리더십을 요하는 그룹에서는 여성의 역할이 과소 평가되고 있는 실정
※ 리더십 그룹에서의 여성의 비중은 국가별로 다소 상이하지만(키프로스 13.3% vs 루마니아 50.8%), 전반적으로 여성의 학계 경력개발 기회가 낮음
ㅇ 유럽집행위원회는 양성평등을 위해 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 심사에 성평등 계획 적격성 심사 항목을 추가하고, 이를 통해 10년 이상의 제도적 변화 추진
- 유럽 연구 정책에서는 다양한 양성평등 계획 및 정책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연구 평가 개혁에 관한 협정’을 통해 성과를 정량・정성적으로 평가
□ 코로나19로 인한 연구혁신 양성평등 이슈
ㅇ 시니어급 연구자들을 선호하는 관행으로 인해 양성평등 악화
- 코로나 상황에서도 신속한 데이터 공유가 쉬운 연구자들(주로 남성)일수록 피인용 빈도가 높고, 연구 자금 접근성이 높아 이미 확보한 우위를 보다 강화
※ 학술 활동이 주로 온라인으로 이뤄져 물리적 접근성은 개선되었으나, 주니어 연구자들에게 협업과 교류의 기회를 구축할 기회가 적었고 돌봄 의무가 상대적으로 많음
ㅇ 초기 경력 연구자들의 취약성과 역동성을 고려하지 못함
- 초기 연구자들은 이동성을 활용한 전문 능력 함양, 네트워크 구축, 경력 강화가 매우 중요하나, 감염확산 방지를 위한 봉쇄 등으로 이동성에 제약이 있었음
- 가정에서 돌봄 책임의 비중이 높은 여성은 연구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어 논문 제출 및 출간 활동에서 매우 낮은 생산성 보임
ㅇ 새로운 연구 방식, 일과 삶의 균형 문제 대응에 성별 영향을 고려하지 않음
- 온라인 소통은 일반적으로 연구자에게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개인 영역 분리가 어려운 여성, 편부모 등에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권장 사항 및 해결 방안
ㅇ 자금 지원 및 취업・승진에서 피인용지수를 사용하는 평가 방식 개선
- 코로나19 영향 추후 보정을 위해 연구 활동의 생산성 외에도 여성, 경력 초기 연구자, 돌봄 책임이 있는 연구자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통해 취약 그룹을 위한 연구비 펀딩 및 취업・승진 기회 마련
ㅇ 돌봄 책임이 있는 여성, 맞벌이 부부, 경력 초기 연구자들이 손쉽게 다른 기관, 지역, 국가에서 연구 활동을 지속 가능한 기회 제공
ㅇ 온라인 환경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와 권리를 인정하고 디지털 방식으로도 업무 진행 및 퇴근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인식과 규정 개발
ㅇ 유럽연합집행위원회가 채택한 ‘성평등전략(Gender Equality Strategy) 2020-2025’를 근거로 ①호라이즌 유럽 프로그램과 국가별 펀딩을 통해 연구 활동 내 성평등 강화를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②돌봄 책임, 성폭력,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한 자료 수집과 관련 연구 지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