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IEA, 에너지 기술 제조업 현황 보고서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IEA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5-19
- 등록일 2023-06-09
- 권호 240
□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에너지 산업의 주요 국가별 현황 및 예상 생산량을 제공하는 에너지 기술 제조업 현황 보고서를 발간*(’23.5.)
* The State of Clean Technology Manufacturing
※ 보고서는 배터리, 태양광발전, 풍력, 전기분해 설비, 열펌프 현황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본 모니터링에서는 배터리 분야 동향 분석으로 한정
ㅇ 동 보고서는 IEA 기존 발간자료인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2023 (23.1.)’에 비해 2030년까지 배터리 분야 제조역량이 25%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주요국 배터리 제조 현황과 예상 생산량
ㅇ (미국) 2022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주요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는 5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으며 투자액의 50%가 배터리 제조 해당
- 2022년 미국의 배터리 제조 역량은 2021년 대비 85%가 증가한 연간 105GWh를 기록했으며, 현재 발표된 프로젝트들을 보면 2030년까지 연평균 30%의 성장률(CAGR)을 보이며 925GWh까지 확장될 예정임
ㅇ 계획한 프로젝트가 모두 실현된다면 2030년 기준 미국 배터리 제조 역량은 APS* 수요량에서 조금 모자랄 것으로 보임
* Announced Pledges Scenario: 각국이 기후공약을 제때 전부 이행할 것을 전제로 한 시나리오
ㅇ (유럽연합) 2023년 3월 발표된 탄소중립산업법(NZIA)은 2030년까지 기후 및 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기술 제조역량을 최소 40% 확보하는 조치 포함
- 배터리 제조는 전기차 판매 증가로 인해 2021년 70GWh에서 2022년 110GWh로 크게 성장하였으며, 제조 역량도 전년 대비 90% 증가한 130GWh에 도달
ㅇ 발표된 프로젝트가 모두 추진된다면, 2030년까지 연평균 25%의 성장률로 증가해 약 650GWh의 추가적인 제조 역량이 확보될 수 있음
- 다만, 현재 유럽연합에서 발표한 프로젝트 중 10%만이 확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나머지 90%의 예비 프로젝트가 실현되기 위한 지원정책의 마련이 필요함
ㅇ (중국) 2021년 발표한 제14차 5개년 계획은 청정기술 제조 지원을 통해 2030년 이전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정점에 도달한다는 목표를 설정
- 현재 생산량은 2030년 APS 수요량을 충족시키기에 부족하지만, 2030년까지 중국은 국내 수요의 4배가량 생산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