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국가 청정 수소 전략 및 로드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에너지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6-05
- 등록일 2023-07-07
- 권호 242
□ 에너지부(DOE)는 수소의 생산, 처리, 운송, 저장 및 사용을 가속화하기 위한 종합적 프레임워크인 ‘국가 청정 수소 전략 및 로드맵’ 발표*(’23.6.)
* U.S. National Clean Hydrogen Strategy and Roadmap: 초당적 인프라법(BIL)을 근거로 2022년 9월 초안 작성 후 대중 의견을 반영하여 발표되었으며, 최소 3년마다 업데이트 예정
ㅇ 이는 현재 미국의 수소 생산, 운송, 저장, 사용 현황 및 향후 수소가 국가 탈탄소화 목표에 기여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 미국은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2035년까지 탄소 무공해 전력 100% 공급 및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의 목표를 수립
- 미국 국가 기후 전략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50~52% 감축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적인 접근 방식 및 경로 제시
‘국가 청정 수소 전략 및 로드맵’은 청정 수소가 효과적인 탈탄소화 도구로 개발 및 채택될 수 있도록 다음의 3가지 핵심 전략을 수립
(1) 전략적이고 영향력이 큰 분야에 청정 수소 사용을 집중
- 정부는 특히 전기화하기 어려운 산업 부문 및 대형 운송 분야 등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청정 수소의 사용에 중점을 둘 계획
* U.S. Department of Energy Clean Hydrogen Production Standard Guidance
(2) 청정 수소 비용 절감
- 청정 수소 생산 방법에 따른 탄소 배출 및 기타 환경 영향을 고려하여 청정 수소 공급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
- 에너지 어스샷 이니셔티브의 일환인 수소샷(Hydrogen Shot)을 통해 ‘향후 10년 내 청정 수소 비용 80% 절감, 1kg 당 $1 달성’을 목표로 지역 청정 수소 허브, 대출 보증 등을 통한 수소 배치 및 규모 가속화, 청정 수소 비용 절감 추진
(3) 지역 네트워크 확보
- 지역 수요에 따라 수소의 최종 사용과 인접한 곳에서 생산을 확대하여 운송 및 인프라 비용을 절감하고 지역에 혜택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규모의 이점을 달성
- 가령, 에너지부는 초당적 인프라 법(BIL)에 따라 지역 청정 수소 허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역 인프라 네트워크를 촉진하고, 민간 자본 활성화를 추진
* Regional Clean Hydrogen Hubs program
ㅇ 이상의 세 가지 핵심 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연방기관은 RDD&D*를 통해 기초과학 전반에 걸친 활동을 활용할 예정
* Research, Development, Demonstration, Deployment
- 즉,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접근성 증진, 다양한 커뮤니티의 참여 촉진, 인력 개발, 정책 발전, 기술 및 에너지 전환 지원, 대규모 시장 활용 등을 위한 기초적이며 범분야적인 노력을 통해 지원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