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인도와 정상 회담을 통한 공동 성명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백악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3-06-22
  • 등록일 2023-07-21
  • 권호 243

□ 미국 바이든 대통령과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2023622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여 안보 및 첨단 기술 분야 등에서 양국의 파트너십을 강화*(’23.6.)

* Joint Statement from the United States and India'


ㅇ 양국은 첨단기술 및 공급망을 주요 협력 의제로 설정하고 우주, 반도체, 통신, 양자기술, 인공지능 등의 분야에서 협력 사항 논의

- (핵심신흥기술 비전 공유) 20231월 출범한 핵심신흥기술 이니셔티브(iCET) 중심으로 정부, 기업, 학계가 전략적 기술 파트너십을 실현할 수 있는 비전 공유

- (우주 기술) 미국 주도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Artemis)’에 인도의 참여를 포함하여, 미 항공우주국(NASA)과 인도 우주연구기구(ISRO) 중심의 연구, 훈련, 정책 협력을 추진

- (반도체 공급망) 미국 메모리 반도체 제조 기업 마이크론와 반도체 장비기업 AMAT가 인도 내 반도체 제조실험 시설 및 공학 센터 건설에 각각 82,500만 달러, 4억 달러를 투자

- (첨단 통신 기술) 오픈 랜(Open RAN)를 비롯한 첨단 통신망 및 5G/6G 기술 연구개발 협력을 위하여 태스크포스를 발족하고, 인도의 바라트 6G 얼라이언스와 미국 넥스트 G 얼라이언스 주도의 민관 협력 추진

Bharat 6G AllianceNext G Alliance는 각각 미국과 인도의 산학연 6G R&D 연합체로 민간, 학계, 연구기관 및 표준화 단체 중심으로 구성

- (양자 정보 기술) 미국-인도 양자기술 합동 메커니즘*을 설립하고 양자 교육 및 교류 프로그램의 유지확대 및 연구 협력 장벽 축소 노력 추진, 미국의 대 인도 고성능컴퓨팅(HPC) 기술 및 소스 코드 수출 장벽 완화 노력 강조

* Indo-U.S. Quantum Coordination Mechanism

- (신흥기술 공동 연구)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인도 과학기술부(DST), 전자정보기술부(MeitY)를 중심으로 컴퓨터 및 정보과학, 사이버 물리 시스템, 반도체, 차세대 통신, 지속가능성,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여러 분야의 공동 연구 지원

- (인공지능) 생성형 AI를 포함하여 AI 교육 및 인력, 상업 기회 창출 등을 위하여 공동 및 국제 협력을 추진하며, 미국의 구글는 인도 디지털화 펀드(India Digitization Fund)를 통해 인도 스타트업 기업에 100억 달러 투자

- (첨단 과학 인프라) 인도 원자력에너지부(DAE)와 미국 에너지부 페르미 국립 연구소(Fermi National Laboratory)의 가속기 공동 개발 지원,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등을 위한 양국 간 협력 확대

- (기술 공유, 공동 개발 및 생산 기회 촉진) 20236월 시작된 양국 간 전략 무역 대화(Strategic Trade Dialogue)를 환영하며, 양국의 수출 통제 해결 및 첨단기술 상거래 강화 방안 모색 등의 정책을 촉진


ㅇ 양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청정에너지 분야의 협력을 강조하였으며, 교육, 인적 교류 등의 분야에서도 협력 강화

- (기후 행동 및 청정에너지) -인도 기후 및 청정에너지 아젠다 2030 파트너십*과 전략적 청정에너지 파트너십(SCEP)**을 강조하며, 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 등을 위해 SCEP 산하에 구체적인 태스크포스를 설립하여 양국의 기후 및 청정에너지 분야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 강화

* U.S.-India Climate and Clean Energy Agenda 2030 Partnership

** Strategic Clean Energy Partnership

- (운송 부문 탈탄소화) 무공해 친환경 차량 및 전기차 보급 가속화,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 등 바이오 연료 개발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2030년 인도 철도의 넷 제로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내용의 양해각서 체결

- (핵심 광물 공급망) 기후, 경제, 전략 기술 협력 목표 달성에 필요한 중요 광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인도는 미국의 광물안보 파트너십(MSP)에 가입

- (자력) 도 원자력공사(NPCIL)와 미국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인도 내 원자로 6기 건설 방안을 협의 중이며, 미국 에너지부-인도 원자력발전부 간 인도 Kowada 원전 사업을 위한 기술상업 협의 진행

- (교육 파트너십) 양국 간 연구 및 대학 파트너십을 확대하며, 특히 반도체, 지속 가능한 농업, 청정에너지, 보건 및 감염병 대응, 신흥기술 분야의 연구 협력 및 교류 강화

- (인재 이동) 전문직 및 숙련 노동자, 학생, 투자자, 비즈니스 여행객의 양국 간 이동으로 경제 및 기술 파트너십이 강화됨을 확인하고, 신속한 비자 신청 처리를 비롯하여 교류 촉진을 위한 방안 마련 추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