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수요자주도형 인재공급망 구축 가이드라인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5-11-12
  • 등록일 2015-12-07
  • 권호 59

□ 미국 상공회의소(USCCF)*와 교육 관련 NGO인 USA Funds는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를 양성․공급하기 위한

   ‘인재 공급망 구축 가이드 라인’을 제시(2015.10.21)
  

   * U.S. Chamber of Commerce Foundation 

 

○ 미국은 업무능력, 기술(skill)이 검증된 인력의 부족, 이른바 인재공급의 미스매치로 인해 5백만 개 일자리가 채용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 중


○ 두 단체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재 파이프라인 관리 이니셔티브(TPM)*’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최근 발표


   * Talent Pipeline Management initiative : Arizona, Illinois, Kansas, Texas, Virginia Kentucky, Michigan 등 7개 지역의

     단체가 참여 

 


□ 인력의 최종수요자(고용주)가 교육, 인력양성, 채용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수요자 주도형 인재 공급망’을

   제안하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6개 과제를 제시


○ 수요자 간의 협력 강화


 - 개별 수요자가 교육, 인재양성 체계에 개입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수요자간 협력을 통해 필요한 능력에 대한 요구하고 교육

   과정에서 협력을 구축할 수 있도록 과제 추진


○ 인재 수요 기획에의 참여


 - 필요한 능력, 인력규모, 수준 등을 명확히 정의하고, 수요자간 협력을 통해 정부, 산업계의 중장기 인재수급 예측 및 기획에

   적극적으로 반영


○ 직무능력 및 자격조건에 대한 소통


 - 수요자별 직무능력 및 자격조건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공유하고, 구직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근무내용, 능력 기준, 채용

   기준 등을 명확화


○ 인재 흐름 분석
 - 현재 필요하거나, 향후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능력을 가진 인력 공급처 등을 파악하기 위해 공공, 민간의 자료를 토대로

   경력을 역추적하는 등 인재 흐름 분석


○ 인재 공급망에 대한 성과 측정


 - 수요자는 인재 공급체계의 시간, 질, 비용 등에 대해 균형적인 관점에서 평가해야 하며, 평가기준을 상호 교류하고, 공급망의

    질을 관리


○ 충분한 보상
 - 우수인력을 공급하는 기관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공공부문과 협력하여 공공자금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협력

 
□ 시사점


○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력수급의 불균형과 산업현장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이른바 ‘인재공급의 미스매치

    문제’의 해결은 국가경쟁력, 지속가능한 사회시스템 구축을 위해 매우 중요


 - 이는 산업계가 인력공급 체계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큼


    ※ 대학교육의 경제사회요구 부합도(’14) : 53위(제3차 과기인재육성기본계획 공청회 자료)


○ 우리도 ‘수요지향형 인재 양성’, ‘대학교육의 체질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3차 과학기술인재육성‧지원 기본계획

    (’16~’20)」을 수립 중


 - 지역․산업 수요에 기반 한 취업 역량 강화, 이공계 교육의 현장․수요지향성 제고 등을 주요 추진과제로 정하고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제시


○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인력의 최종 수요자인 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산업계의 요구를 정부, 교육기관에

    지속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강화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