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OECD, COVID-19와 복원력, 그리고 과학, 정책, 사회 간의 접점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경제협력개발기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7-18
  • 등록일 2023-08-25
  • 권호 245

□ OECDCOVID-19와 복원력, 그리고 과학, 정책, 사회 간의 접점에 관한 정책 보고서*를 발표 (’23.7.)

*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Policy Papers: COVID-19, resilience and the interface between science, policy and society

보고서는 위기에 대응하는 과학 동원: COVID-19에서 배운 교훈보고서 시리즈의 마지막 발간물로, 전체 시리즈는 COVID-19 위기상황에서 배운 교훈으로부터 미래 위기를 예방, 대비하기 위한 과학 분야의 기여 방안 모색이 목적


ㅇ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회복을 위해 과학 및 정책시스템 전반의 개별 기능 간의 상호의존성 및 연결성을 강조

- 과학 시스템을 통한 위기 대응 및 대비 상황에서의 효율성을 제한하는 구조적 문제를 확인하고, 향후 복원력을 갖기 위해서는 연구자 및 과학 정책 입안자들의 전략적이고 포용적이며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


□ 보고서는 과학 역량, 우선순위 설정, 참여 및 협력, 다학제 접근, 그리고 관리 등 다섯 가지 메타 주제를 선정하고 복원력 강화를 위한 개입 및 필요 조치 제시


ㅇ (과학 역량의 즉각적이고 전략적인 동원) 기존 과학 역량의 즉각적이고 전략적인 배치를 통해 새로운 위기 상황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 시스템에 대한 장기적일관적미래 지향적인 투자가 필요


5-1.PNG

ㅇ (과학적으로 상충하는 우선순위와 이해관계 관리) 제한된 자원 내에서 과학이 위기 대비 및 대응에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과학 활동과 성과에 대해 상충하는 우선순위 및 이해관계의 절충 및 수용이 필요


5-2.PNG

ㅇ (거버넌스 수준 간 조정 및 협업) 복잡하고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의 범위를 넘어서 다양한 규모의 거버넌스를 통한 조정, 협력이 필요


5-3.PNG

ㅇ (학제 간 및 반영적인 과학) 복잡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과학 분야와 정책 영역의 전문 지식데이터 활용 및 통합 및 맥락화가 요구됨에 따라 이를 위한 공동의 원칙 개발 및 파트너십 장려 등이 필요


5-4.PNG

ㅇ (사회를 위한 과학의 역동적이고 체계적인 거버넌스) 위기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복구하기 위해서는 역동적인 프로세스와 메커니즘이 필요


5-5.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