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IEA, 핵심 광물 시장 리뷰 2023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국제에너지기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7-11
  • 등록일 2023-08-25
  • 권호 245

□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핵심 광물의 최근 산업 추세 및 배터리 분야 주요 동향을 포함한 핵심 광물 시장 리뷰 2023 보고서*를 발표(’23.7.)

* Critical Minerals Market Review 2023


ㅇ 핵심 광물은 청정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산업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불안정한 가격, 공급망 정체, 지정학적 우려 등이 장애 요인으로 작용

- 태양광이나 배터리 기술 성장으로 최근 6년간(’17~’22) 핵심 광물인 리튬에 대한 수요가 3, 코발트가 70%, 그리고 니켈이 40%까지 증가

에너지 분야 내에서 리튬, 코발트, 니켈 각각이 활용되는 비율은 5년 전 30%, 17%, 6%에서 현재는 56%, 40%, 16%로 증가

- 전기차 판매가 60%가량 증가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빠른 수요 증가 2022년 핵심 광물 시장 규모는 3,200억 달러에 달함

IEA의 청정에너지 기기 가격 인덱스에 따르면, 2020년까지 청정에너지 기기 가격이 기술혁신과 규모의 경제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이후 핵심 광물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이러한 추세가 역전될 가능성을 시사함


ㅇ 신기술의 도입으로 배터리 분야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2022년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이 각각 60%2배 이상 가파르게 성장

- 대형 차량의 전기차 선호로 핵심 광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 중국에 위치한 배터리 재활용시설을 유럽과 미국에서도 확충하려고 노력

현재의 재활용은 제조 과정 부산물의 처리에 집중하고 있지만, 전기차 배터리가 수명을 다하는 2030년에는 새로운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


ㅇ 핵심 광물에 대한 개발(development) 및 탐색(exploration) 투자가 2022년 각각 30%, 20% 증가하며 높은 성장률을 이어감

- 20개 대형 광산업체의 핵심 광물에 대한 개발 투자 현황을 보면 리튬 개발 전문 기업가 50%가 증가했으며 구리와 니켈 중심 기업이 차례로 뒤를 이음

- 리튬 탐색 비용은 90%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우라늄 또한 60% 증가했는데 이는 러시아 공급에 대한 우려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임


□ 핵심 광물은 공급망 측면에서는 수요 증가에 대한 대응, 다양한 공급원 확보 방안, 환경친화적인 공급의 세 가지 도전과제에 직면


ㅇ (수요 증가 대응) 핵심 광물 수요는 STEPS, APS*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0년까지 약 2배 증가할 전망이며, NZE** 시나리오는 3.5배 증가한 3,000만 톤 예상

- 현재 APS 시나리오에 필요한 핵심 광물 공급은 수요가 충족될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실제 공급 여부는 아직 완전히 보장되지 않음

NZE 시나리오 수준을 달성하려면 추가 프로젝트가 필요하며, 새로운 채굴방식은 생산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질 위험이 존재

* Stated Policy Scenario는 전 세계 정부가 현재 시행 중이거나 개발 중인 정책 내용을 반영한 시나리오이며, Announced Pledges Scenario는 구체적으로 정책화되기 이전인 순배출량 제로 공약 등 장기적인 배출량 조절 및 에너지 목표를 반영한 시나리오

** Net Zero Emissions by 2050 Scenario205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섹터가 탄소 순 배출량 제로 달성을 위해 필요한 목표를 제시하는 시나리오


8-1.PNG


ㅇ (다양한 공급원 확보) 국가들은 광물 공급의 다양화를 위한 여러 정책을 도입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유럽연합의 핵심 원자재 법안(Critical Raw Materials Act),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nflation Reduction Act), 호주 및 캐나다의 핵심 광물 전략(Critical Minerals Strategy) 등이 있음

- IEA의 핵심 광물 정책 트랙커(Critical Minerals Policy Tracker)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핵심 광물과 관련하여 200여 개의 정책 및 규제가 존재하며 이 중 100개 이상이 최근 몇 년 사이에 제정

원료가 풍부한 인도네시아, 나미비아, 짐바브웨와 같은 국가들은 미가공 광석의 수출을 금지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광물 수출 규제는 2009년 대비 5배 증가

- 안정적인 광물 공급을 위해 차량 제조, 배터리 제조, 기기 제조업자 등 점차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광물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으며, 기업은 장기 구매 계약 외에도 핵심 광물 밸류체인에 직접 투자하기 위해 노력

2021년 이후 직접투자 추세가 강해지고 있으며,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인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의 경우 핵심 광물 자산 인수를 주요 전략으로 채택했으며, General MotorsLithium Americas65000만 달러를 투자했고, 테슬라는 미국에 새로운 리튬 정제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음

- 최근 공급원 다양화 시도는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2022년 상위 3개 생산업체의 점유율은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증가하고 있고, 니켈과 코발트의 경우 상위 생산업체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등 일부 후퇴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함

현재 계획 및 진행 중인 프로젝트도 지리적으로 집중된 양상을 보이는데, 중국은 리튬 화학 공장의 절반, 인도네시아는 건설 중인 니켈 정제 시설의 90%를 차지

구리를 제외한 광물의 상위 3개국 추출 비중은 60% 이상으로 높은 편이며, 광물 처리의 경우 리튬, 흑연, 희토류는 상위 3개국의 비중이 거의 100%를 차지하고 있으며, 광물 처리에 있어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음

 

8-2.PNG


ㅇ (환경친화적 공급) 20개 대형 광산업체의 환경 및 사회적 활동을 평가한 결과 지역사회 투자, 근로자 안전 개선, 성 평등과 같은 지표에서는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환경 지표의 개선 속도는 다른 지표에 미치지 못함

- 온실가스 배출량은 여전히 높으며, 일부 다운스트림 기업이 기후에 영향을 적게 주는 광물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투자, 혁신, 재활용, 지속가능 지표 및 안전망을 고려한 핵심 광물 공급 전략의 구축이 미흡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