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고대역폭메모리(HBM), 국내 선도 기업 간 경쟁 주목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블로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7-12
  • 등록일 2023-08-25
  • 권호 245

□ 국내외 기업의 챗GPT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AI 반도체 시장 기대감도 동반 상승


ㅇ GPT 등 생성형 AI 시장의 개화로 고성능 메모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향후 CPU, GPU와 짝을 이루어 서버 성능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HBM(High Band width Memory) 수요가 빠르게 증가 예상

- HBMD램을 실리콘관통전극(TSV) 기술을 적용해 집적회로(다이)를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기존 D램보다 더 많은 데이터 전송 통로(I/O)를 확보해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 가능

- 동안 HBM은 고성능 컴퓨팅(HPC)이나 GPU 기반 딥러닝(심층학습) 기기 등에 데이터의 고속 처리를 위해 주로 도입하였으며, HBM은 세대가 바뀔 때마다 처리 속도가 향상되면서 인공지능용 그래픽처리장치에 탑재

SK하이닉스와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설계 회사 AMD가 협력해 만든 HBM 1세대 품은 핀(Pin)1Gbps에서 2022년 출시한 4세대 HBM3에 이르러서는 6.4Gbps 향상. 이는 초당 819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풀HD 영화 163편을 단 1초에 전송 가능

 

1-1.PNG


ㅇ 기존 D램 가격보다 3~5배 이상 비싸 수요가 적은 HBM의 높은 가격과 AI데이터센터 등에 적용되고 있고, 아직은 보조적인 수단에 머무는 HBM의 확장성을 통해 시장 증가 예상


□ AI 시대의 필수재인 ‘HBM’ 10개 중 9개는 SK하이닉스삼성전자


ㅇ (SK하이닉스) 업계 최초로 개발(’21.10)4세대 HBM 제품인 ‘HBM3’20226월에 양산하여 엔비디아에 공급

엔비디아는 GTC 2022(GPU Technology Conference, ’22.9) 기조연설에서 H100 Hopper GPU DGX H100 시스템에 HBM3 채택을 공식 발표

- 또한, HBM3 보다 성능과 용량을 업그레이드한 5세대 HBM ‘HBM3E’(8Gbps 데이터 전송률)2024년 상반기에 양산 계획


ㅇ (삼성전자) 최고 6.4Gbps의 성능과 초저전력을 기반으로 하는 HBM3 16GB1224GB 제품 샘플을 출하하며 양산 준비(’23)

- 올해 하반기에 시장이 요구하는 더 높은 성능과 용량의 차세대 HBM3P(PLUS) 제품 출시 예정

- HBM3에 연산기능을 통합한 HBM3-PIM을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

 

1-2.PNG


1-3.PNG


□ 글로벌 HBM 시장은 올해 204,186만 달러에서 2028632,150만 달러에 이르며 동 기간 25.36%CAGR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mordor intelligence)


ㅇ 현재 HBM 시장은 SK하이닉스-AMD가 최초로 HBM을 개발한 이후, HBM3 독점 양산 등 선두를 유지하면서, 삼성전자도 빠르게 추격

- 4세대 제품인 HBM3를 독점 양산하는 SK하이닉스가 선두를 지키며 5세대 제품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HBM3 하반기 양산 예정

- 2015년에는 삼성전자가 2세대 HBMHBM2 개발에 성공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압도적으로 가져갔지만, 당시 SK하이닉스가 발 빠르게 3세대(HBM2E)4세대(HBM3) 개발에 집중하면서, 주도권을 다시 확보하는 등 양사의 경쟁 치열


ㅇ SK하이닉스, 삼성전자의 고부가 제품으로 시장점유율은 각각 50%, 40% 수준이며, 마이크론이 10% 수준으로 집계(트렌드포스)

엔비디아 A100 등에 대한 ’25AI 시장수요는 최소 145600개에서 233700개로 전망(트렌드포스)


1-4.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