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오픈 사이언스 추진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8-07
  • 등록일 2023-09-08
  • 권호 246

□ 일본 문부과학성은 오픈 사이언스 추진을 위한 대응방안 자료인 오픈 사이언스 추진()’*을 발표(’23.8.)

* オープンサイエンスの推進について一次まとめ()


ㅇ 오픈 사이언스는 오픈 액세스(OA)*와 연구 데이터의 공개 등 연구성과의 공유공개로 연구의 가속화와 새로운 지식 창출을 촉진하려는 노력

-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의 신속한 연구성과 활용에 따른 효과 가시화로 관심 증가

* 오픈 액세스(Open Access)란 비용과 장벽의 제약 없이 이용 가능한 연구성과물


ㅇ 일본도 공적 자금에 의한 학술논문 등의 공개 등 오픈 사이언스에 관한 방침 검토

미국, 유럽 등 각국 및 UNESCO, OECD에서도 오픈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음

G7 과학기술장관 회의에서 과학적 지식 및 연구 데이터, 학술 간행물을 포함한 공적 자금에 의한 연구성과의 공평한 보급을 통해 오픈 사이언스를 추진하기로 합의


□ 오픈 사이언스 의의


ㅇ (연구활동 자체의 변화) 연구자가 필요한 지식 및 연구자원에 대한 효과적 접근과 연구기관, 분야, 국가를 초월한 새로운 협력으로 지식 창출과 데이터 기반 연구 등 고부가가치 연구를 촉진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


ㅇ (사회에 대한 기여와 책임) 공적 연구자금에 의한 성과를 경제적 추가 부담 없이 공유함으로써 연구 과정의 투명성 및 연구성과 조기 환원 등의 실현으로 연구자의 사회적 책임 완수에 기여


□ 오픈 사이언스 실현을 위한 대응


ㅇ (연구기관의 정책 수립) 대학 및 연구기관은 연구자의 검토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기관 내에서의 논문 공개 과정 및 데이터 관리 방법 등을 통일하여 지원 강화


ㅇ (연구성과 플랫폼 구축) 연구자 및 연구지원자 관점*에서 편의성 및 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플랫폼** 간 역할 분담 및 이용자 접근 방식 재검토로 상호 보완이 가능하도록 정비 추진

* 국제적 기준에 대한 준거 및 저자의 최종 원고를 쉽게 작성공개하는 기능 등

** 국립정보학연구소(NII)와 과학기술진흥기구(JST)에서 연구성과 플랫폼을 정비


ㅇ (오픈 사이언스 지원시스템 구축) 학술정보의 디지털화 및 개방화 촉진을 위한 대학 도서관의 역할 증대 및 대학에 학술정보 제공 환경 구축

- 대학 등 연구기관이 구독하는 학술지와 연구자들의 열람수요 대응 강화

- 미래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도서관 실현 대비를 위해 연구현장 실태를 파악하여 이용 환경 정비 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검토


□ 프리프린트(pre-print)* 활용

* 학술지 측의 심사를 거치지 않은 상태로 저자의 투고와 동시에 가까운 시점에 공개되는 논문 원고


ㅇ 프리프린트에 대한 기능 확충 추진 및 오픈 액세스 추진 관점에서의 프리프린트 포지셔닝 전략 수립 필요

- 프리프린트는 동료평가 없이 결과를 공개함으로써 연구 성과의 우선순위 확보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간에 더 많은 연구가 축적되는 효과 존재

- 연구 성과의 즉각적인 공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가운데, 프리프린트를 통해 더욱 빠른 연구 성과의 공개가 가능


□ 오픈 사이언스 추진 시 고려사항


ㅇ 오픈 사이언스는 기존 연구 활동에 새로운 활동이 추가되거나 병행되는 형태로의 추진이 예상되므로 연구 현장 및 대학 등의 부담 해소와 이를 위한 지원이 필요

- 연구현장은 기존의 논문 투고 절차, 연구 활용데이터 업로드, 심사 전 논문의 프리프린트 서버 등록 등 부담 수반

- 대학은 논문 및 연구 데이터의 수록 확대로 기관 리포지토리 운영 부담 수반


ㅇ 연구자에 의한 논문 및 연구 데이터 등의 연구 성과 공유공개가 적절히 평가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구자의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