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23년 차세대 인공지능 과학기술산업 발전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차세대인공지능발전전략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8-10
- 등록일 2023-09-08
- 권호 246
□ 중국 차세대인공지능발전전략연구원은 중국의 인공지능 산업발전 클러스터 현황을 정리한 ‘중국 차세대 인공지능 과학기술 산업발전 2023’을 발표*(’23.8.)
* 建设具有全球竞争力的人工智能产业集群
ㅇ (현황분석) 인공지능 핵심기업 2,200개를 대상으로 기술 협력 관계의 지역, 응용분야 및 산업분포 현황을 파악
- (지역) 베이징시, 선전시, 광저우시, 상하이시 대상
- (응용분야) 스마트시티(12.16%), 기업 스마트관리(12.10%), 스마트제조(8.89%), 스마트 마케팅 및 신소매(8.41%)와 커넥티드카(8.07%) 등 분포
- (산업분포) 3차 산업*(75.79%), 2차 산업**(23.82%), 1차 산업(0.39%) 순
* 정보전송,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서비스업(28.46%)>과학연구 및 기술서비스업(22.17%)>임대 및 비즈니스서비스업(10.75%)>금융업(10.68%)
**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설비제조업(28.16%)>자동차제조업(25.41%)>전기기계 및 기자재제조업(9.30%)>전용설비제조업(6.62%)>일반설비제조업(4.03%)
ㅇ (혁신 자원 현황) 대학, 연구기관, 및 신설 혁신조직을 포함
- (대학) 인공지능, 스마트과학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서비스 전공을 개설하는 등 인공지능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 중인 대학은 438개*로 조사
* (지역분포) 산둥성(7.53%)>장쑤성(7.31%)>베이징시(6.62%)
- (연구기관) 인공지능 관련 연구기관은 총 307개*로 조사
* (지역분포) 베이징시(25.73%)>광둥성(17.26%)>장쑤성(13.03%)>저장성(11.40%)>상하이시(8.47%)
- (신설 혁신조직) 인공지능 관련 신설 혁신조직은 총 347개*로 조사
* (지역분포) 장쑤성(54.76%)>광둥성(14.41%)>안후이성(8.93%)
ㅇ (미국의 기술 봉쇄와 기술 고도화 압력) 미국의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기술 봉쇄 지속으로 중국과 미국 간 기술격차가 커질 가능성 존재
- 미국은 알고리즘, GPU와 운행시스템을 포함한 기초 소프트/하드웨어 분야에서 기술우위
- 중국은 패턴 인식, 컴퓨터 비전, 데이터 마이닝, 음성인식 분야는 양호하지만, 알고리즘, 자연어처리 및 인간-기계 상호작용 분야는 상대적으로 취약(’10~’20년 논문 기준)
- 미국의 기술 봉쇄 상황은 중국과 미국 간의 기초연구와 인재양성 분야 협력 강도의 저하로 인해 중국의 인공지능 분야 혁신과 인재양성에 영향을 미침
ㅇ (인공지능 기술체계 상의 한계) 중국은 스마트 칩과 플랫폼 운영시스템을 포함한 기초 소프트/하드웨어 분야에서 약세
- (스마트 칩) 화웨이, 알리바바와 바이두를 포함한 메이저 기업과 일부 스타트업 기업이 스마트 칩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나, 현재 중국의 칩 시장 비중은 3% 수준
- (플랫폼 운영시스템) 화웨이 훙멍운영시스템, HMS(화웨이 모바일 에코) 등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 운영시스템을 기반으로 응용 서비스 소프트웨어 개발자 확보를 위해 노력
ㅇ (플랫폼 기업의 기술 고도화 추진속도 완만) 100억 달러 이상 규모의 플랫폼 기업 수(’20년 기준, 총 64개)는 중국(36개)이 미국(28개)을 능가하나 기업의 시가총액 및 증가율 변화 면에서 미국과의 격차가 벌어지는 추세
- 중국 인공지능 플랫폼 기업의 기술 고도화 지연은 시장규모 확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인공지능 혁신플랫폼의 기술혁신과 고도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정책시스템 추진이 요구되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