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독일, 기술 예측 및 미래 연구의 핵심 주제에 관한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연방교육연구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9-01
- 등록일 2023-09-22
- 권호 247
□ VDI Research는 어떤 기술과 과학연구 주제가 전 세계 및 개별국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국가 기술 예측 및 미래 연구의 핵심 주제’ 보고서를 발표*(’23.8.)
* Internationale Technologieprognosen und Zukunftsstudien in der Übersicht
ㅇ 각국 정부와 기업은 혁신 프로세스의 복잡성 증가, 혁신 주기 가속화, 국제 경쟁 심화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 방향에 대한 지속적 검토 필요
- 이러한 이유로 지역, 국가, 글로벌 단위의 미래 통찰력을 제공하는 공공 기술 예측 및 미래 연구의 중요성이 꾸준히 확대
- 보고서는 세계 주요 국가와 지역의 핵심 현안들에 대한 개요를 나열하고, 개별 국가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기술 관련 주제에 대한 비교를 제시
ㅇ 보고서는 2016~2022년 동안 발표된 19개국의 총 118개* 미래 연구내용을 토대로 미래 연구주제를 14가지**로 범주화하고 3가지 지표로 분석
* EU 7개국(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라트비아, 몰타, 오스트리아), 미국, 영국, 호주, 인도, 한국, 일본, 캐나다,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스위스, 그리고 EU의 22개 연구 포함
** 사회/문화/교육, 디지털화, 지속가능성/환경/기후, 노동과 가치창조, 보건/라이프스타일/영양, 건축/주거, 해양기술/선박, 국방/안보, 항공우주, 모빌리티/교통, 바이오, 에너지, 기초기술 디지털화, 재료
- 3가지 지표는 해당 국가의 미래 연구 전반에 대한 집중도(연구 집중도), 미래 연구주제 스펙트럼(미래 주제 범위), 개별 주제 정책 고려 강도(미래 주제 강도)
ㅇ (국가 혁신관점에서 연구 집중도) 미국, 호주,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영국의 연구 집중도가 두드러지며 세부 대용은 아래 그래프와 같음
- 연구 집중도와 연구 강도는 선형적 관계는 아니지만 완만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는 연구 역량과 규모가 큰 국가에서 미래 연구 활동이 보다 집중적임을 의미
ㅇ (미래 주제 범위) 핀란드와 일본은 14개 주제 영역을 모두 골고루 다루고 있는 반면, 덴마크와 에스토니아는 특정 주제에 편중된 경향을 보임
- 사회/문화/교육은 모든 국가에서 비중 있게 다루고 있으며, 보건/라이프스타일/영양, 노동과 가치창조 항목도 중요하게 다뤄짐
- 지속가능성/환경/기후, 에너지는 2개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해양기술/선박은 영국, 캐나다, 노르웨이, 핀란드, 일본에서만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
ㅇ (미래 주제 강도) 주제 강도는 6개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EU와 비EU 국가 간에 매우 상이하게 나타남
- 사회/문화/교육, 디지털화, 노동과 가치창조는 EU와 비EU 국가 모두에서 상위 5개 주제에 속하며, 이는 세계적으로 디지털화가 미래 사회와 근로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의미
- 지속가능성/환경/기후, 에너지는 EU 국가에서는 각각 5위와 6위, 비EU 국가에서는 1위와 4위를 차지하여 세계적으로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고 있음
- 바이오, 재료, 항공우주, 국방/안보, 해양기술/선박은 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남
- 독일의 경우, 6개 미래 분야 중 에너지를 제외한 5개 분야는 연방교육연구부가 상정한 미래 연구혁신 전략과 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