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UNCTAD, ‘아프리카 경제 개발 보고서 2023’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유엔무역개발회의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8-16
- 등록일 2023-09-22
- 권호 247
□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첨단기술 분야 공급망 측면에서 아프리카 대륙의 잠재력과 개선사항을 조사한 ‘아프리카 경제 개발 보고서 2023’을 발표*(’23.8.)
* Economic Development in Africa Report 2023 : The potential of Africa to capture technology-intensive global supply chains
ㅇ 최근 글로벌 팬데믹, 무역 분쟁, 지정학적 이슈들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생태계 혼란 상황에서 각국 제조업체는 생산 위치를 비롯한 공급망의 다각화가 필요
- 보고서는 아프리카 국가 및 기업이 가진 잠재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으로서 아프리카의 비교 우위를 검토하고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
ㅇ 아프리카 대륙은 주요 광물의 풍부한 매장량, 기술 적응력이 빠른 젊은 인구, 급성장하는 중산층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짐
- (주요 광물 매장량 풍부) 아프리카는 친환경 기술에 활용되는 코발트, 망간 등 다양한 금속의 주요 매장지*로, 글로벌 공급망 내 원자재 공급자로서 역할 가능
* 전 세계 금속 매장량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 : 코발트 48.1%, 망간 47.6%, 흑연(천연) 21.6%, 구리 5.9%, 니켈 5.6%, 리튬 1%, 철광석 0.6%
- (청년층 노동/소비 인구 증가) 인구 증가*는 시장의 트렌드를 이끌어 미래 성장 잠재력을 높일 수 있으며, 실제 아프리카 청년층의 기술 채택 속도가 급속하게 증가
* 아프리카 지역은 인구의 60%가 25세 미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50년까지 2배로 증가하여 25억 명(전 세계 인구의 약 1/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중산층 확대) 소득과 구매력이 높은 중산층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 촉진 및 내수 시장 확대, 생산 촉진에 영향을 미침
ㅇ 아프리카 대륙은 이상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첨단 기술 집약 공급망 및 산업에서 새로운 시장 및 비즈니스 설정이 필요
ㅇ 아프리카의 공급망 기회 최적화를 위해서는 디지털화와 금융 접근성 개선이 필요
- 의료기기 및 전기 장비와 같이 첨단기술 기반 제품의 생산, 유통, 물류, 조달을 위해서는 자동화, 머신러닝,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등의 기술이 필수적
- 2021년에서 2022년 사이 아프리카 공급망의 금융 시장 규모는 40% 상승하여 410억 달러에 달하나 여전히 글로벌 규모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
ㅇ 아프리카 대륙으로 공급망을 이전하기 위하여 주요 산업 분야별로 고려할 수 있는 정책 권고사항은 다음과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