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IT기업, 경쟁우위 확보 수단으로 MVNO 시장 진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일본 , 중국
  • 생성기관 본문참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5-12-18
  • 등록일 2015-12-21
  • 권호 60

□ MVNO*의 지속적인 시장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IT업체들도 서비스를 확대


   *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가상이동통신망 사업자) : 주파수를 별도로 보유하지 않고 기존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망을

     통해 독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 통신사 네트워크를 임대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MVNO는 저렴한 요금제를 무기로 이용자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빠르게

    성장


 - 향후 5년 간 연평균 18% 증가해 ’19년 3억 1,300만 명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며 매출도 ’14년 260억 달러 규모에서 ’19년 430억

   달러로 급증할 전망
 - 국내에서도 서비스 개시(2011.7) 이후 빠르게 성장해 ’15.10월 가입자가 600만 명에 육박하며 지속적인 성장세 시현

 


< 글로벌 MVNO 시장 전망 및 국내 가입자 현황 >

 









 

 

 () 글로벌 가입자 지역별 전망

 () 국내 가입자 추이

  ※ 자료 : OVUM(KT경제경영연구소 재인용), 미래창조과학부(’15.11)

 

○ (구글) MVNO 서비스인 ‘프로젝트 파이’ 적용 모델을 넥서스6에서 넥서스5X‧6P까지 확대하며 자사 생태계를 강화


 -  전화번호 하나로 자사의 다양한 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넥서스 시리즈로 가입이 제한되어 통신 시장에 대한 파급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 프로젝트 파이는 매달 20달러로 음성통화와 메시지를 무제한으로 이용하고 데이터는 1GB당 10달러를 별도 지불하고 남는

     데이터는 환불


 - (샤오미) MVNO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차이나 유니콤 및 차이나 텔레콤과 제휴, 정액요금제와 후불요금제 2가지를 출시하며

   시장에 진출


 -  정액요금제는 기존 이통사 대비 40% 이상 저렴한 수준으로 네트워크를 확보함으로써 서비스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포석


   * 후불요금제는 음성통화 1분, 메시지 1건, 데이터 1MB 당 0.1위안을 부과. 정액요금제는 월 59위안에 3GB를 제공하며 SIM

     카드만 구매하면 타사 스마트폰 사용자도 이용 가능


 - 업계에서는 샤오미가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저렴한 요금제를 바탕으로 소비자 선택권 확대와 함께 기존 메이저 이통사의 혁신을

   가속화할 것으로 낙관


○ (알리바바) 자체 통신브랜드인 알리텔레콤을 통해 사업을 시작(2014.6.)했으며 온라인 마켓 타오바오와 T-mall을 통해 개통

    및 단말 판매를 시행


 - 와이파이 핫스팟을 부분적 무료 제공하는 ‘타오 와이파이(Tao WiFi)’를 발표하며 추가 가입자 확보에 돌입


   * 타오 와이파이는 이동통신 3사와 제휴해 확보한 600만 개의 와이파이 핫스팟을 매일 1시간 무료 제공하는 서비스로

     타오바오에서 획득한 마일리지 이용 가능


○ (파나소닉) 일본 제조사 중 가장 활발하게 MVNO를 활용하는 사업자로 자체 노트북에 LTE SIM을 탑재한 렛츠노트를 출시


 - 자체 프로젝터나 보안 카메라 등에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통합시켜 B2B커넥티드 디바이스 사업으로 IoT 시장에 진출할 계획


   * NTT도코모 망을 이용해 관련 서비스 기반을 구축하고 파나소닉이 서비스 설비를 보유하고 운영

 


□ MVNO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지원 및 각 업체만의 차별화 전략 필요


○ MVNO 시장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통신 시장의 경쟁 활성화 및 가계 통신비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 국내업체도 MVNO 서비스 진출로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결합상품 판매 등을 통해 자사만의 생태계 구축 필요


○ 더불어 경쟁사와 차별화를 위해 이용 정도에 따른 데이터‧음성 추가 적립, 요금 리워드, 와이파이 핫스팟 이용 등 고객이 체감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 다만, 국내는 대기업 위주의 사업자로 구성되어 있어 중소사업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시장 진입을 지원하고 저마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