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전자정보제조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행동 프로그램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공업정보화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9-05
- 등록일 2023-10-13
- 권호 248
□ 중국 공화정보화부는 전자정보제조산업* 2023~2024년 안정성장 행동계획**을 발표
*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 장비 제조 산업뿐만 아니라 리튬 이온 배터리, 태양광 및 부품 제조 및 기타 관련 분야 포함
** 电子信息制造业2023—2024年稳增长行动方案
ㅇ (주요 목표) 하이엔드 제품 공급 능력 제고 및 신성장 동력 창출, 산업구조 최적화 및 산업클러스터 구축 추진으로 전후방산업 촉진
-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설비 제조업 부가가치 평균 증가율 5%, 전자정보제조기업* 매출액 24조 위안 초과 달성
* 매출액 2,000만 위안 이상의 기업
- ’24년 중국 휴대폰 시장에서 5G 휴대폰 출하량 점유율 85% 이상, 75인치 이상 컬러 TV 시장점유율 25% 이상, 태양전지 생산량 450GW 이상 달성
ㅇ (방향성) 혁신주도 발전 전략 이행, 새로운 과학기술 및 산업 변화 기회 선점, 미래 산업 혁신 발전 촉진
(1) 내수 시장 확대 및 시장 잠재력 자극 전략 이행
- 전통 분야* 소비 촉진 및 신성장동력 분야** 육성
* 휴대폰, PC, TV 등
** 가상현실, 시청각 산업, 첨단컴퓨팅, 베이더우 애플리케이션, 신형 디스플레이, 스마트 태양광발전
(2) 투자 및 전환 확대, 하이엔드화, 친환경 및 지능형 개발 촉진
- (중점 프로젝트 발굴) 집적회로, 신형 디스플레이, 통신설비, 지능형 하드웨어, 리튬이온전지 등 추진
- (산업 업그레이드 및 전환) 산업 구조 조정 및 고도화, 기업 생산라인 업그레이드 가속화 지원 및 중・하이엔드 제품 비중 향상
- (녹색 제조와 지능화 업그레이드 촉진) 친환경 공장 건설 장려 및 산업의 자원이용 순환 추진, 스마트 태양광발전 핵심기술/제품 혁신응용/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지원
(3) 대외 무역 시장 안정화, 산업 개방 및 협력 수준 향상
-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 비중 제고 및 브랜드의 국제경쟁력 수준 제고를 통한 수출시장 안정화 추진
- 개방과 상생협력 확대, 외국인 투자를 위한 비즈니스 환경 구축 등을 통한 국제교류 및 협력 추진
(4) 공급자 구조 개혁 및 산업 공급능력 수준 향상
- 혁신 발전 수준* 및 공급 능력**을 종합적으로 향상
* Micro-LED, 인쇄 디스플레이 등 IT기술 분야 산업 중심 배치, 전자소재, 전자전용 설비 및 전자 측정기기의 기술 개발을 추진
** 집적회로, 신형 디스플레이 분야 등의 산업 배치 최적화, 고품질 리튬전지, 에너지저장 제품의 공급 능력 제고
(5) 산업 가치사슬과 공급망 체계의 원활한 유지 및 산업생태계 협력 촉진
- (산업 가치사슬의 현대화 수준 향상) 집적회로, 신형 디스플레이, 서버, 태양광발전 분야 등을 중심으로 가치사슬 체계를 수립하고, 전후방산업 강화로 안정성 향상
- (대・중소기업의 통합 개발 촉진) 중소기업 특화 산업클러스터 육성 가속화
- (산업배치 최적화) 산업 가치사슬의 자원배치를 최적화하여 국제경쟁력 있는 첨단제조업 클러스터를 육성
(6) 산업 정책 환경 개선 및 산업 경제의 안정 운영 촉진
- (표준 제・개정 사업 추진) 기초전자부품, 반도체부품, 광전자부품, 전자소재, 신형 디스플레이, 집적회로, 스마트홈, 가상현실 등의 표준체계 정리 및 중점표준 제정・실시 가속화
- (재정 지원 확대) 첨단기술기업의 조세 혜택,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주식 인센티브 연결납세 등 정책을 구체화하여 기업의 부담 경감 및 기업의 R&D 투자 확대 유인
- (과학기술인재 지원 강화) 산학연계 전문 기술교육 모델 구축 지원 및 산업수요지향 인재양성 확대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