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디지털 트윈 시티를 위한 제언을 담은 보고서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WEF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3-08-29
- 등록일 2023-10-13
- 권호 248
□ WEF는 디지털 트윈 시티(Digital Twin Cities)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기 위한 보고서 발간*(’23.8.)
* Digital Twin Cities: Key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ㅇ ‘디지털 트윈 시티’란 현실 세계의 물리적 물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모델을 의미하며, 다음의 두 가지 특징을 가짐
- ① 물리 세계에서 구별되는 물체를 기본 데이터 유닛으로 인식하며, 디지털 트윈은 해당 유닛의 정태적 정보와 동적 데이터를 결합함
- ② 다양한 산업이나 분야의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 운영과 공공서비스에 대한 종합적이며 효과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
- 데이터를 통한 도시 관리와 스마트 서비스, 양방향 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시티는 지속가능한 성장과 지역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
ㅇ 디지털 트윈 시티 시장 규모*는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개념에 대한 이해나 관련 기술,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개발 경로 등에 대한 합의는 부족한 상황이며, 디지털 트윈 시티 구축에 있어 다음과 같은 과제에 직면해 있음
* 디지털 트윈 시티 시장 규모는 2026년 약 48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 (복잡한 지역 개발 수요 증가) 교통, 환경, 치안, 사회보장 등 도시가 진화하며 발생하는 문제는 도시계획, 관리,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가 얽혀 있음
- (급속한 기술 발전) 디지털 트윈 기술은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3D 모델링, 블록체인 등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법적인 프레임워크나 기술 표준을 수립하는데 시간이 소요
- (불확실성에 대한 투자와 위험) 디지털 트윈 시티 개발은 데이터 센터, 빅데이터 수집 기기, 스마트 센서, IoT 등 데이터 인프라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스마트 도시관리를 위한 운영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혁신이 뒷받침되어야 함
(구축 기간의 장기화) 디지털 트윈 시티는 물리환경과 가상환경을 연결하는 장기간의 구축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 보안 등의 문제가 중요
ㅇ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고서는 5개 요소로 구성된 SODPA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정부와 기업에 디지털 트윈 시티 건설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
* 디지털 트윈 시티의 목표는 삶의 질 향상에 있으므로 SODPA 모델은 사람을 중심으로 함
ㅇ 디지털 트윈 시티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공동 노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보고서는 주체별로 다음의 사항을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