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기업들, 자사 SW를 오픈소스로 전환 추세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한국
  • 생성기관 본문참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5-12-18
  • 등록일 2015-12-21
  • 권호 60

□ ICBM, 머신러닝 등 최근의 소프트웨어(SW) 혁신은 모두 공개SW를 통해 일어나고 있음


○ 해외 주요 기업(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뿐 아니라 페이스북, 넷플릭스 같은 서비스사업자도 자사가 개발한 자체 기술을

    공개SW로 제공


○ 공개SW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가가 관건


□ 클라우드, 빅데이터, 머신러닝, 사물인터넷, 모바일 등 최근 해외 주요 기업들의 SW 오픈소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전통적인 SW벤더뿐 아니라 페이스북, 넷플릭스 같은 서비스 사업자도 자신이 개발한 자체 기술을

    공개SW로 공개하는 일이 다반사가 되었으며, 이는 플랫폼 전략과 이어져 주도권 경쟁이 심화

 

<주요 기업의 자체 기술 오픈소스화 발표 내용>

기업명

발표시점

발 표 내 용

마이크로소프트

2014.04.

닷넷 컴파일러 플랫폼 로슬린오픈소스화 발표

2014.11.

전체 닷넷 서버 스택 오픈소스 제공, 리눅스 및 맥 OS 플랫폼에서도 닷넷 지원 발표

2015.07.

우주 시뮬레이션 도구 월드와이드 텔레스코프오픈소스화 발표

2015.11.

개발자 도구 비쥬얼 스튜디오오픈소스화 발표

2015.11

머신러닝 오픈소스 툴킷 DMLT 공개

구글

2015.11.

AI 엔진인 ‘TensorFlow’ 오픈소스화 발표

2015.11.

이메일 이관을 위한 도구 ‘mail-importer’, ‘import-mailbox-to-gmail’ 오픈소스화 발표

넷플릭스

2015.11.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피보탈과 협력하여 멀티클라우드 플랫폼인 ‘Spinnaker’ 오픈소스화 발표

페이스북

2011.04.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 컨소시엄인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출범

이베이

2015.02.

실시간 분석 플랫폼 펄사오픈소스화

애플

2015.08.

프로그래밍 언어 스위프트오픈소스화

에어비앤비

2015.06.

머신러닝 소프트웨어 에어로솔브오픈소스화

링크드인

2015.06

실시간 분석 기술 피노오픈소스화

삼성

2015.11.

딥 러닝 플랫폼 Veles 공개

      ※ 자료 : 해외 언론 자료를 토대로 재정리

 

○ SW산업이 특정 상용 SW에 종속될 경우 국가 전체의 SW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으며, SW산업이 국가 발전의 핵심

    원천이라는 측면에서 공개 SW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국가의 정책적 지원도 당위성을 얻고 있음


○ 주요 국가들은 공공재적 특성을 지닌 공개SW 관련 정책을 활발히 시행 중


<주요 국가별 공개 SW에 대한 정책 현황>

국 가

주 요 정 책 내 용

미 국

공개 SW를 도입하기 전에는 직접 개발을 통한 GOTs(Government off-the-shelf)라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였으나

- 공개 SW의 적극적인 활용이라는 내용이 담긴 GOSS(Government Open Source Software) 기반으로 전환하면서

- GOCC(The Government Open Code Collaborative)라는 단체 설립을 통해 공개 SW 도입을 위한 기관별 컨설팅 제공 및 개발 인력과의 협력으로 공개 SW 도입 촉진

영 국

PoC(Proof of Concept) 공개 SW 도입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기관의 IT 서비스를 공개 SW(MS 오피스 대신 리브레 오피스 도입 등)로 변환

- 스코틀랜드 경찰국은 예산의 90%를 절감하고 국방대학교는 30%이상의 개발시간 단축효과를 얻는 등 직접적 효과

독 일

BerliOS프로젝트를 통해 공개 SW소스에 대한 관리, 개발자에 대한 관리, 뉴스, 공개 SW 기록 등을 수행하였고, 20144월 소스포지에 정보 및 기능 이전

프랑스

공공기관의 OS를 리눅스로 도입하려는 정책을 통해 국립 헌병대의 경우 MS OfficeOpen Office, Internet ExplorerFirefox로 전환

한국

2017년까지 공공부문 공개 SW 적용 비율을 50%까지 확대할 계획

        ※ 자료 : 미래창조과학부, NIPA(2015. 3) “15년 공개SW 개발지원사업 안내서”,백필호 외(2014. 12), “주요국 공공부문 

            공개SW 활용 사례 및 국내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세계적으로 오픈소스의 도입과 활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플랫폼 전략과 연결되어 주도권 확보 경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구글은 Dual Track 전략(안드로이드 오픈소스 프로젝트, 구글 안드로이드 동시 제공)을 통해 2010년 이후부터 심비안에

    역전한 후, 2013년 이후부터는 시장점유율 80%를 상회


○ 국내 공개 SW 활성화를 위해, 공개 SW가 무료라는 인식부터 개선해야 하며 개발자들의 교류의 장(場)인 커뮤니티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고, 공개 SW의 라이선스와 분쟁사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수준도 제고가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