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한국, ‘디지털 권리 장전’ 공개하며 디지털 공동번영사회 위한 원칙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기정통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3-09-25
  • 등록일 2023-10-30
  • 권호 249

□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시대를 맞아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쟁점에 대한 규범을 망라한 디지털 질서 기본 체계인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9.25.)

디지털 권리장전 구상은 20229월 뉴욕 구상 이후 다보스 포럼, 미국 하버드대,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 G20 정상회의 및 UN 총회 등 1년 간의 글로벌 논의를 종합한 결과물


1-1.PNG

ㅇ 이번에 발표된 디지털 권리장전은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보편적 디지털 질서 규범의 기본방향을 담은 헌장으로 디지털 심화 시대에 맞는 국가적 차원의 기준과 원칙을 제시

- AI 중심의 논의를 넘어 리터러시 향상, 격차 해소 등 디지털 전반의 이슈를 포괄했으며 윤리와 규범적 논의 외에도 디지털 혁신을 강조하고 국제 연대와 협력을 통한 인류 후생의 증진 등 차별화된 원칙과 권리를 규정했다는 점이 특징

- 1장에서는 디지털 공동번영사회구현을 위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유와 권리 보장 디지털에 대한 공정한 접근과 기회의 균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 자율과 창의 기반의 디지털 혁신의 촉진 인류 후생의 증진 총 5가지의 기본 원칙을 규정

- 2~6장에서는 이 5가지 기본원칙을 구현하기 위한 시민의 보편적 권리와 주체별 책무(국가기업시민)를 세부 원칙 형태로 명시


ㅇ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유와 권리 보장 차원에서는 키오스크 등과 같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과 자신의 정보에 대한 열람정정삭제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출현하는 다양한 노동환경에서 안전한 근로와 휴식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내용 등을 제시


ㅇ 또한, 디지털에 대한 공정한 접근과 기회의 균등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자산이 정당한 법적정책적 보호를 받아야 하는 것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의 기회가 제공돼야 하는 것 등을 규정


ㅇ 아울러, 디지털 공동번영사회의 전제가 되는 안전과 신뢰 확보를 위해 디지털 위험이 체계적 시스템으로 관리되어야 할 것과 디지털 기술의 개발과 사용이 윤리적 방식으로 책임 있게 이뤄져야 한다는 등의 원칙 제시


ㅇ 정부는 디지털 권리장전을 통해 글로벌 디지털 규범 논의를 주도해 나갈 계획으로 UN, OECD 국제기구, 중 등과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AI디지털 규범, 거버넌스 논의에 적극 참여할 예정

- , 우리 정부가 디지털 혁신을 추구하면서도 정의롭고 공정한 혜택을 향유한다는 모범적인 미래상을 제시한 만큼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글로벌 디지털 규범의 표준이 될 가능성 제기


1-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