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5년 세계지식재산권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5-11-11
  • 등록일 2015-12-21
  • 권호 60
□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는 20세기 후반, 경제성장을 주도한 3대 기술과 미래 경제성장을 이끌 3대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지재권)의 역할, 국가별 특허 현황,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

   (2015.11.11)


  
*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 20세기 후반 경제성장을 주도한 3대 기술: 비행기, 항생제, 반도체 미래 경제 성장을 이끌 3대 기술: 3D 프린팅, 나노기술,

       로봇기술


○ WIPO는 2년 주기로 지재권과 관련된 동향 분석 보고서를 발간

□ 6개 기술의 경제 성장 기여 및 지재권의 역할

 

기술

주요 내용

비행기

- 인적, 물적 교류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켜 세계화에 기여

-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와 특허 및 지재권이 제공하는 독점권을 통한 투자 인센티브가 기술 혁신의 주요 요인

항생제

- 의료 기술 향상을 통해 삶의 질과 생산성 향상

- 지재권과 상표권 제도는 신약 개발 촉진에 기여

- 일부 개발도상국의 경우 지재권 제도의 미비가 오히려 신약의 빠른 확산에 기여

반도체

- 노동 생산성의 증가를 통해 경제 성장에 기여

- 지재권은 혁신적 기술의 개발과 확산에 기여

- 경쟁자의 시장 진입을 막는 방어 전략으로 사용되어 기술 발전을 저해하기도 함

3D 프린팅

- 중앙 집중식 대량 생산체제에서 분산형 소비자 맞춤 체제로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 기술

- 현재 기술 개발 및 확산은 특허 및 상표권 제도를 기반으로 이뤄짐

나노 기술

- 전기 자동차에서 의료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

- 기술 발전 및 타 분야 적용을 통한 경제적 파급 효과는 전기, 컴퓨터, 인터넷 등과 비견될 정도

- 특허권을 통한 기술 독점권의 확보와 기술 확산은 해당 분야
기술 혁신에 크게 이바지

로봇 기술

- 자동화와 인공지능을 통해 노동 생산성 향상에 기여

- 기술의 발전에 의해 보다 넓은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

-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등을 통한 기술 혁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3대 미래 혁신 기술에 관한 주요국의 특허 현황  

 

○ 3D 프린팅, 나노기술, 로봇기술은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한국 6개국이 관련된 특허의 75% 이상을 보유

 

<주요국의 3대 미래 혁신 기술 특허 보유 현황> 

3D 프린팅

나노기술

로봇기술

기업명

소속국가

최초출원

기업명

소속국가

최초출원

기업명

소속국가

최초출원

3D Systems

미국

200

삼성

한국

2,578

도요타

일본

4,189

Stratasys

미국

164

신일본제철

일본

1,490

삼성

한국

3,085

Siemens

독일

145

IBM

미국

1,360

혼다

일본

2,231

GE

미국

131

도시바

일본

1,298

닛산

일본

1,910

미쓰비시

일본

127

캐논

일본

1,162

Bosch

독일

1,710

히타치

일본

117

히타치

일본

1,100

덴소

일본

1,646

MTU

독일

104

캘리포니아대

미국

1,055

히타치

일본

1,546

도시바

일본

103

파나소닉

일본

1,047

파나소닉

일본

1,315

EOS

독일

102

HP

미국

880

야스카와

일본

1,124

United Tech

미국

101

TDK

일본

839

소니

일본

1,057



□ 기술 혁신 촉진을 위한 정부의 역할


○ 정부의 연구개발에 대한 초기 투자와 유망 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지원


○ 기업의 혁신을 촉진시키는 경쟁력 있는 시장, 금융 및 규제 인프라 구축


○ 공공 및 민간 혁신 주체 간의 유기적인 연결망 구축


○ 대학 및 공공 연구 기관의 연구 역량 향상


○ 미래 3대 기술 분야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지재권 시스템의 구축 및 개선 

배너존